![]() |
이승연 부산시의원 |
[부산=뉴스핌] 남동현 기자 = 부산시의회 도시안전위원회 이승연 의원은 제330회 임시회 본회의 '5분 자유발언'에서 폭염 재난에 대한 부산시의 대응 방식의 한계를 지적했다.
이 의원은 15일 "지역 맞춤형·데이터 기반의 폭염 대응체계 구축과 함께 기후변화를 고려한 도시공간 구조의 장기적 개선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폭염은 단순한 기온 상승이 아닌, 인구 밀집·녹지 부족·열섬현상 등 도시 구조와 맞물려 더욱 심각해지는 복합 재난"이라며 "부산시는 여전히 그늘막, 무더위쉼터, 생수·선풍기 배포와 같은 일회성, 물리적 대응에 머물고 있다"고 쓴소리를 던졌다.
이어 "최근 3년간 부산시의 폭염 예산은 2023년 약 18억8000만원에서 2025년 8억8000만 원으로 절반 이상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라며 "사업 내용 또한 쿨링포그, 그늘막 등 시설물 설치 위주로 편중돼 있지만 사업의 실효성은 낮고 시민 체감도도 매우 저조하다"고 직격했다.
또 "현재 대부분의 지자체에서는 폭염 대응 업무가 다른 재난과 겸임되고 있다"면서 "중앙정부 지침을 그대로 반복하는 하향식 대응 방식으로 인해 지역 특성과 실정이 반영되지 못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 의원은 "지역 맞춤형 폭염 취약성 지도를 구축해 폭염 예산과 대응시설을 보다 체계적으로 배분하고 폭염·한파·홍수 등 복합 기후재난에 대응할 전담 부서 설치 및 상시 인력 확보가 필요하다"며 "하얀 지붕, 쿨 포장 등 도시 열섬 완화 인프라 도입을 통해, 도시공간 구조의 장기적인 대응체계를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폭염은 해마다 반복되는 자연현상이 아니라 도시 구조와 안전 수준을 시험하는 기후 재난"이라며 "더위에 견디는 도시가 아니라, 과학과 데이터로 대응하는 도시로 나아가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ndh4000@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