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최문선 기자 = 국가유산청은 전라남도 영암군에 위치한 '영암 시종 고분군'을 국가지정문화유산 사적으로 지정했다고 7일 밝혔다.
5세기 중후엽에서 6세기 초 조성된 '영암 시종 고분군'은 영산강 본류와 삼포강, 남측의 지류를 모두 조망할 수 있는 영암 시종면에 위치하고 있으며, '옥야리 장동 방대형 고분'과 '내동리 쌍무덤'으로 이루어져 있다.
![]() |
[서울=뉴스핌] 최문선 기자 = 옥야리 장동 방대형 고분 전경. [사진=국가유산청] 2025.07.07 moonddo00@newspim.com |
영암 시종면 일대는 지리적으로 서해 바다와 내륙의 길목에 해당하는 요충지로, 서해를 통해 선진 문물을 받아들이는 해양 교통로의 거점이자 내륙으로 확산시키는 관문 역할을 했던 곳이다.
영암군에 위치한 총 49개소의 고대 고분 중 시종면에만 28개소가 집중 분포해 있는데, 그 중 일부인 '옥야리 장동 방대형 고분'과 '내동리 쌍무덤'은 영산강 유역 마한 전통 지역사회의 사회·문화적 변화를 고분의 축조기술 등을 통해 잘 보여주고 있다.
5세기 중엽 '옥야리 장동 방대형 고분'을 시작으로 영산강 유역에 등장한 고총고분은 '내동리 쌍무덤'으로 이어지는데, 이를 통해 마한 고유의 전통적 옹관묘에서 벗어나 거대한 방대형 분구의 석곽·석실묘로 발전했음을 알 수 있다.
이들 유적에는 점토덩이를 이용해 방사형이나 동심원 형태로 구획하고 구획된 영역을 성토하는 방식이 적용된 것으로 확인되는데, 이는 이들 유적이 계획적으로 설계됐음을 알려주는 동시에, 당대 토목기술의 수준을 보여준다.
![]() |
[서울=뉴스핌] 최문선 기자 = 유리구슬(내동리 쌍무덤 출토). [사진=국가유산청] 2025.07.07 moonddo00@newspim.com |
출토 유물로는 당시 영산강 유역에서 성행했던 양식의 토기와, 이 지역이 백제와 정치·사회적으로 긴밀히 연결됐음을 보여주는 금동관 세움 장식이 확인됐다. 이와 함께, 봉분 외곽 장식으로 쓰인 원통형 토기와 동물형상 토제품도 출토됐는데, 이들 유물은 외래 유물을 현지화한 것으로 보여, 이 지역이 여러 주변국과의 교류 과정 속에서도 독립성과 문화적 정체성을 유지했음을 보여준다.
이처럼 '영암 시종 고분군'은 마한의 전통적인 요소를 바탕으로 백제·가야·중국·왜 등 다양한 요소를 수용해 현지화한 고분으로 역사적·학술적 가치를 지닌 유적으로 평가된다.
moonddo00@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