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스크, 내년 중간선거 겨냥 "캐스팅보트 쥐겠다"
공화당과 트럼프 압박...투자자 '심기불편'
베선트 "머스크는 회사 경영에 집중해야"
[시드니=뉴스핌] 권지언 특파원 =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감세 및 지출 법안에 반대하며 '아메리카당'을 창당했다.
5일(현지시간) 머스크는 소셜미디어 엑스(X)에 '아메리카당(미국당)을 만들어야 할까'라고 올린 전날 설문에 '그렇다'는 답변이 많이 나오자 "2대 1의 비율로 여러분이 새 정당을 원했고, 이제는 새 정당을 갖게 될 것"이라면서 "오늘 아메리카당이 여러분에게 자유를 돌려주기 위해 창당된다"는 글을 올렸다.
머스크는 "낭비와 부패로 우리나라를 파산시키는 걸 보니, 우리는 민주주의가 아닌 일당제 하에 살고 있다"며 신당 창당 취지를 밝혔다.
머스크의 이 같은 발표는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4일 '크고 아름다운' 감세법에 서명한 뒤 나온 것이다.
![]() |
일론 머스크가 '아메리카당'을 창당하겠다며 X에 올린 글 [사진=머스크 X계정] 2025.07.07 kwonjiun@newspim.com |
트럼프의 감세 및 지출법안은 임기 1기 때 부유층 세금 감면 조치를 연장하고 국방과 국경 이민단속 지출을 늘리는 내용으로, 향후 10년간 재정 적자가 3조4000억달러 이상 늘어날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후 정부효율부(DOGE) 수장을 맡아 예산 절감에 앞장섰던 머스크는 정부 지출을 늘린다는 데 강하게 반발해왔다.
머스크의 이번 발표에 트럼프 대통령은 6일 뉴저지주 모리스타운에서 에어포스 원에 탑승하기 전 기자들에게 "제3의 정당을 만든다는 건 터무니없는 일이라 생각한다"면서 "혼란만 가중시킬 뿐"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머스크가 그걸로 재미를 볼 수도 있겠지만, 난 그게 말도 안 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도 같은 날 CNN '스테이트 오브 더 유니언(State of the Union)'에 출연해, 머스크가 이끄는 테슬라와 우주기업 스페이스X의 이사회는 그가 정치에 관여하는 것을 달가워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베선트 장관은 "내가 보기에 두 회사의 이사회는 어제(토요일) 발표를 매우 불편해했을 것이고, 그에게 정치보다는 사업 활동에 집중하라고 권고할 것"이라고 말했다.
베선트 장관은 머스크가 유권자들에게 큰 영향력을 갖고 있지 않다고도 주장했다. 그는 머스크가 주도한 정부개혁 부처(DOGE)는 인기 있었지만, 정작 머스크 본인은 그렇지 않았다고 말했다.
![]() |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 [사진=블룸버그통신] |
◆ 투자자·공화당 '심기불편'...민주당은 '미소'
머스크의 신당 창당 발표에 테슬라 투자자들과 공화당은 불편한 기색을 감추지 않고 있다. 반면, 민주당에는 이러한 갈등이 반가운 소식이다.
투자사 아조리아 파트너스의 제임스 피시백 CEO는 'X'에 글을 올려 테슬라 관련 상장지수펀드(ETF) 출범을 연기하겠다고 밝혔다.
피시백 CEO는 테슬라 이사회에 머스크의 정치적 의도에 대한 명확한 설명을 요구하며 "머스크가 지난 5월 정부 직책에서 물러난 이후 회사에 더 집중할 것이라는 주주들의 신뢰를 새 정당 창당이 흔들고 있다"고 주장했다.
머스크가 막대한 자금을 보유하고 있음에도 160년 넘게 미국 정치권을 양분해온 공화당-민주당 체제를 무너뜨리는 일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라는 지적이 있다. 하지만 이번 신당 창당이 공화당 내부의 분열을 심화시키고, 2026년 중간선거에서 공화당의 입지를 약화시키는 데는 효과적일 수 있다는 관측이다.
머스크는 창당을 발표하면서 전장의 특정 위치에 극도로 집중된 병력을 투입하는 전략을 쓰겠다며, 예를 들어 "상원 의원 2~3석과 하원 지역구 8~10개에만 집중하는 방법도 있다. 이 정도면 논쟁의 여지가 있는 법률에 대한 결정적 표결로 국민의 진짜 뜻을 반영할 수 있을 것"이라고 경고하기도 했다.
민주당 자문이기도 했던 맥 맥코클 듀크대학교 교수는 워싱턴포스트와의 인터뷰에서 이러한 전략대로라면 2000년 대선에서 녹색당의 랄프 네이더가 플로리다·뉴햄프셔주에서 민주당의 표를 일부 잠식했던 것처럼 "머스크가 공화당 후보의 출마를 방해하고, 노스캐롤라이나주 같은 경합 지역에서 변화를 가져올 만큼의 표를 확보하는 '훼방꾼' 역할은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다만 맥코클 교수는 "머스크가 운영하는 기업들이 연방 정부에 그토록 많은 계약을 따냈는데, 이제 와서 그가 자유주의를 내세운 새 정당의 기수가 될 수 있을지는 미지수"라면서 "그가 남은 인생을 새 정당을 만드는 데 바칠 것 같진 않고, 지금까진 트럼프와의 불화 때문에 트럼프의 업적을 망치려는 의도로 보인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이나 백악관은 머스크의 창당 발표에 대해 즉각적인 논평을 내놓지 않았다.
kwonjiu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