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 경영애로 및 2025년 하반기 경기전망 조사
[서울=뉴스핌] 이석훈 기자 = 중소기업중앙회는 '중소기업 경영애로 및 2025년 하반기 경기전망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해당 조사는 지난달 16일부터 20일까지 중소기업 500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했다.
![]() |
[사진=중소기업중앙회] |
조사 결과, 올해 하반기 전반적인 경기전망이 호전될 것이라는 응답 비중이 13.8%였다. 이는 상반기(7.6%) 대비 6.2%포인트(p) 증가한 수치다.
중소기업의 경영상황을 알 수 있는 항목별 경기전망에서는 올 하반기에는 상반기 대비 ▲매출(8.4%→14.8%) ▲영업이익(8.4%→14.8%) ▲자금사정(6.2%→11.4%) ▲공장가동률(9.6%→10.4%)이 모두 호전될 것으로 나타났다.
역계열 추세 항목에서도 ▲인력수준(18.6%→13.6%) ▲재고수준(9.6%→8.0%) ▲설비수준(2.8%→1.2%) 모두 호전될 것으로 조사됐다.
중소기업은 올해 가장 큰 경영 애로요인으로 내수부진(49.8%)을 꼽았다. 원자재가격 상승(41.0%), 인건비상승(38.4%), 자금조달 곤란(21.2%)이 뒤를 이었다. 해당 수치 모두 상반기 대비 소폭 줄어들면서 하반기 중소기업의 애로요인이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중소기업 10곳 중 9곳이(90.0%) 내수경제 예상 회복 시점을 '2026년 이후'로 답했다.
2026년에 내수경제가 회복할 것이라고 응답한 기업이 54.4%(상반기 31.8%, 하반기 22.6%), '2027년'으로 응답한 기업은 35.6%로 나타났다. '2025년 하반기'에 회복할 것이라고 예상한 기업은 10.0%였다.
2025년 하반기 최우선 경영 전략으로는 비용절감·구조조정 등 경영 내실화(27.6%)가 가장 많았고, ▲경영리스크 관리(21.6%) ▲핵심 인력 유지 및 역량강화(17.0%) ▲외형성장(10.0%) 순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의 활력 제고를 위해 가장 필요한 정책(복수응답)으로는 ▲세금 부담 완화(52.6%) ▲금융 지원(45.8%) ▲인력난 해소(28.4%) ▲원자재 수급 안정화(26.2%) 순으로 조사됐다.
추문갑 중소기업중앙회 경제정책본부장은 "하반기 중소기업의 경영 전망은 상반기에 비해 다소 개선될 전망"이라며 "하지만 하반기에도 내수부진이 주요 경영 애로요인으로 나타난 만큼 정부는 중·단기적 내수 활성화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해야 한다"고 밝혔다.
stpoemseok@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