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행 평가 운영 관련 연수 실시
지침 개정도 검토…"자율성·학습권 보장"
[서울=뉴스핌] 신수용 기자 = 교육부는 오는 2학기부터 중·고등학교에서 수행평가의 운영 방식을 변경한다고 2일 밝혔다.
수행평가는 암기 위주 지필 평가의 한계를 극복하고 학생의 전인적 성장과 고차원적 사고 능력의 발달을 지원하기 위해 1999년 처음 도입됐다.
이번 개선안의 뼈대는 모든 수행평가가 수업시간 내에 진행돼야 한다는 것이다. 부모의 도움 등 외부 요인의 개입 가능성이 높은 과제형 수행평가와 과도한 준비가 필요한 암기식 수행평가를 금지하는 내용도 담겼다.
![]() |
교육부 전경. [사진=교육부] |
7~8월 중에는 시·도 교육청별로 학교 관리자와 평가 담당 교원을 대상으로 수행평가 운영 관련 연수도 실시한다. 이 자리에서는 수행평가 도입 취지, 평가 규정, 유의 사항 등이 안내될 예정이다.
교육부는 향후 시·도 교육청과의 협의를 통해 현장의 요구를 반영한 지침 개정도 검토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학교 자율성과 학생의 학습권을 동시에 보장하는 방향으로 제도 개선을 추진하겠다는 입장이다.
김천홍 교육부 책임교육정책관은 "수행평가는 단순한 시험이 아니라 학생의 성장과 변화를 이끄는 교육의 중요한 과정"이라며 "학교가 수업과 평가의 본질에 집중할 수 있도록 현장과 지속적으로 소통하겠다"고 말했다.
aaa22@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