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최원진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상호관세 유예 기간 만료(7월8일)를 앞두고 이번 주중 무역 담당 참모들과 만나 각국에 부과할 상호관세율을 논의할 것이라고 백악관이 30일(현지시간) 밝혔다.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상호관세 유예 연장 가능성에 관한 질문을 받자 "트럼프 대통령은 그것(유예 연장)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했다"며 "그는 그들(미국의 무역 상대국들)이 성의 있게 협상하지 않을 경우, 많은 나라들에 관세율을 결정할 것"이라고 답했다.
![]()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사진=로이터 뉴스핌] |
이어 레빗 대변인은 "그(트럼프 대통령)는 이번주에 그 일을 하기 위해 무역팀과 만날 것"이라고 알렸다.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부 장관도 "선의로 협상 중인 국가들이 있더라도, 만약 최종 합의에 이르지 못하면 10%의 임시 관세율(기본 관세율)이 11%에서 최대 50%까지 인상될 수 있다"며 협상 시한이 지나면 고율 관세를 피할 수 없다고 경고 했다.
같은 날 폭스비즈니스와 인터뷰한 케빈 해싯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은 오는 4일 미국 독립기념일 이후 여러 국가들과 무역 협정 발표가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행정부의 초점은 독립기념일 이전에 트럼프 대통령의 대규모 감세·지출 법안을 의회에서 통과시키는 데 맞춰져 있다면서 "아마 7월 4일에 불꽃놀이를 보면서 한두 시간쯤 쉬었다가, 바로 돌아와 협상된 틀을 발표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대통령에게 이 협상 틀을 보고하고 승인 여부를 확인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지난 주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부 장관은 약 10개 상위 교역국과의 무역협정을 최종 확정할 계획이라고 밝혔으며, 나머지 국가들에는 미국이 설정한 관세율을 통보하는 서한을 발송할 것이라고 알린 바 있다.
블룸버그가 협상 상황을 잘 아는 소식통을 인용한 바에 따르면, 미국은 대만과 인도네시아를 포함한 일부 국가들과 무역 합의에 근접했으며, 베트남과 한국과도 타결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wonjc6@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