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기 상여금 등 이견 못 좁혀 '협상 결렬'
전세버스 등 대체 교통수단 즉시 투입
지하철 출퇴근·막차 시간대 연장·증회
[서울=뉴스핌] 이경화 기자 = 서울 시내버스 노조가 28일 오전 4시 첫 차부터 총파업에 돌입한다. 2년 연속 파업이다. 버스 노조가 파업에 나서면서 출근길 대란이 불가피할 전망인 가운데, 서울시는 시민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한 비상 수송 대책 시행에 나섰다.
노사 양측은 27일 오후 3시부터 이날 자정까지 서울지방노동위원회에서 임금·단체협약 관련 비공개 교섭을 가졌지만 합의점을 찾지 못했다.
![]() |
서울 양천구 양천공영차고지에 시내버스들이 주차돼 있다. [뉴스핌DB] |
사측인 서울시버스운송사업조합은 협상 결렬 후 공지문에서 "올해 임단협 교섭의 타결을 위해서는 임금 체계 개편이 최대 현안이라고 거듭 제시했으나 노동조합과 입장 차이가 너무 커서 교섭이 교착 상태에 빠졌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버스조합과 노동조합은 각각 교섭단 회의 등을 거쳐 숙의한 끝에 더 이상 교섭이 진척되기 힘들다는 판단을 함께 내렸다"며 "쟁의 행위에 참여하지 않는 운행사원들의 운행을 협조해 출근길 시민들의 교통 편의를 성실히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보고 교섭을 중단하기로 결정했다"고 했다.
이어 "올해 임단협 교섭이 원만히 타결되지 못한 점에 대해 시민 여러분께 사과드린다"며 "버스조합은 오늘 교섭 중단에 그치지 않고 노동조합과 성실히 추가 교섭을 진행해 이번 사태 해결에 앞장설 것을 약속드린다"고 덧붙였다.
서울시는 28일부터 비상 수송대책 실행에 나선다. 지하철은 출퇴근 시간대 운행을 1시간 연장하고, 심야 운행 시간은 익일 오전 2시까지 1시간 연장한다. 지하철은 총 189회 증회 운행할 방침이다.
지하철역과의 연계를 위해 25개 자치구는 무료 셔틀버스를 투입한다. 무료 셔틀버스는 총 117개 노선에 625대가 투입된다. 파업 미참여 버스는 무료로 이용 가능하다.
또 오전 4시부터 파업 종료 때까지 한시적으로 택시 합승 단속을 유예한다. 이에 따라 승객들이 동의한 경우 합승이 가능하다. 합승 승객으로부터 과다한 택시요금이 징수되지 않도록 현장 안내를 시행한다. 합승 이용 승객의 경우 미터기 조작 없이 승객과 합의된 요금으로 징수(수기 카드결제)할 수 있다.
시는 다산콜재단, 교통정보센터 토피스, 서울시 매체, 정류소 버스정보안내단말기 등을 통해 실시간 교통 정보를 제공할 예정이다.
여장권 서울시 교통실장은 "가용 가능한 모든 교통수단을 동원해 시민불편을 최소화하겠다"고 전했다.
kh99@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