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애 최초 보육·교육기관 이용 시기 19.8개월
[세종 = 뉴스핌] 김범주 기자 = 어린이집과 유치원에 자녀를 맡기는 가정의 월평균 양육비용이 3년 만에 100만원을 넘어섰다. 어머니와 아버지 모두 육아휴직을 사용하는 비율은 154% 증가했다.
교육부는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한 '2024년 전국 보육실태조사' 결과를 20일 공개했다. 영유아보육법에 따르면 효과적인 보육 정책 시행에 필요한 실증적인 근거 마련을 위해 3년 마다 전국 보육실태조사를 하도록 하고 있다.
![]() |
/제공=교육부 |
2004년 처음 실시된 조사 이후 지난해까지 7차례에 걸쳐 조사가 실시됐다. 영유아 양육실태·특성, 어린이집 기본사항·운영현황, 원장·보육교사 등 보육 교직원의 근무현황·인식 등이 조사 범위다.
보육·교육비, 부모급여 또는 양육수당을 받는 2494가구의 영유아 3007명과 어린이집 3058개소에 대해 지난해 8월부터 12월까지 온·오프라인으로 조사가 실시됐다.
우선 보육·교육비, 식·의류비를 포함한 가구별 총 양육비용은 3년 전에 비해 14만원(14.34%) 증가한 111만 6000원으로 집계됐다. 다만 가구소득 대비 비중은 17.8%로 2021년(19.3%)에 비해 감소했다.
육아휴직 이용 경험은 어머니, 아버지 모두 상승했다. 어머니 단독 사용은 34.5%, 아버지 단독 사용 3.6%로 3년 전(32.6%, 2.1%)에 비해 늘었다. 부모 모두 사용한 비율은 6.1%로 2021년(2.4%)에 비해 크게 늘었다.
자녀양육에 대한 어려움에 대한 조사에서는 긴급상황, 이른 출근, 늦은 퇴근시간 등 순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어린이집 이용 시간은 하루 평균 7시간 31분으로 2021년에 비해 19분, 유치원은 7시간 20분으로 2021년에 비해 16분 증가했다.
연장보육을 이용하는 비율은 33.7%, 기본보육만 이용하는 비율은 66.3%였다. 연장보육을 이용하지 않는 이유로는 필요없다(73.8%), 장시간 보육이 발달에 좋지 않아서(21.7%), 학원 등 이용(5.5%) 등으로 나타났다.
전체 영유아 기준 보호자 부담 비용은 월평균 14만 6000원으로 조사됐다. 어린이집 이용 시 보호자 부담 월평균 비용은 2021년(5만 6000원)보다 1만 4000원 증가한 7만원, 유치원은 1만 2000원 줄어든 17만 7000원이었다.
어린이집의 평일 운영 시간은 12시간 8분으로, 94.2%가 연장보육반을 운영 중인 것으로 조사됐다. 시간제보육을 운영하는 어린이집은 6.7%(204개소), 반당 평균 이용 아동수 8.3명이었다.
![]() |
/제공=교육부 |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1만 5947명의 급여는 월평균 287만 3000원으로 3년 전에 비해 9% 상승했다.
한편 어린이집 보육교사 권익보호 조사 결과 '근무 중 권리침해 경험이 있다'는 응답 비율은 17.7%이었다. 2021년 조사에서는 30.1%였다.
강민규 영유아정책국장은 "이번 조사결과를 토대로 보호자의 양육부담을 완화하고 일·가정 양립을 실현할 수 있도록 시간제 보육 활성화 방안, 연장보육 확대 지원방안 등을 추진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wideope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