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이나영 기자= 코스닥 상장사 헝셩그룹은 100% 자회사 에이치에스(HS)뷰티를 통해 국내 중소 유망 브랜드 소싱 확대 및 중국 현지 유통업체에 대한 영업력 강화에 나섰다고 29일 밝혔다. 경쟁력 높은 국내 제품으로 중국에서 제2의 K-뷰티 전성기를 이끌겠다는 목표다.
회사는 지난해 하반기 사업 진출 초기 5개에 불과했던 취급 브랜드를 현재 30개까지 확대했다. '한한령' 해제에 대한 기대감과 함께 올해를 화장품 사업 확대를 위한 원년으로 삼을 예정이다.
![]() |
헝셩그룹 로고. [사진=헝셩그룹] |
한한령 이전 중국 K-뷰티 전성기는 국내 대형 화장품사가 이끌었다. 코로나19를 거치며 글로벌 시장에서 성장 중인 국내 중소 브랜드들이 중국에서도 주목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들은 우수한 품질과 가격 경쟁력을 갖췄지만 현지 유통망 부족은 판매 확대의 과제로 지적된다.
이에 헝셩그룹과 국내 화장품 브랜드가 서로에게 윈윈(win-win) 전략이 될 수 있다고 회사는 설명했다. 중국 화장품 시장의 지속적인 성장세와 규모를 고려할 때, 화장품 사업 진출로 추가 성장동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중국 탐적(探迹) 빅데이터 연구원에 따르면 지난 2023년 중국 화장품 시장 규모는 약 100조원(5169억 위안)으로 전년대비 6.4% 성장했다. 올해는 시장 규모가 114조원(5791억 위안)으로 확대될 전망이다.
식약품안전처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 화장품 수출 규모는 102억달러로 전년 대비 20.6% 증가했다. 이는 2021년 역대 최대 수출액인 92억달러보다 10.9% 증가한 수치다. 국가별 수출액은 중국이 25억달러로 가장 많았다.
헝셩그룹 관계자는 "중국 화장품 시장은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어 한국 화장품 업체들이 놓칠 수 없는 매력적인 시장이다.경쟁력을 입증한 국내 중소 화장품 브랜드 발굴과 협력을 통해 중국에서 제2의 K-뷰티 시대를 열어가겠다"며 "기존 중국 내 사업 기반을 활용해 화장품 사업을 신성장 동력으로 키우고, 기업 가치를 제고하는 데 힘쓸 것"이라고 전했다.
한편 헝셩그룹은 지난 8일 오너 2세 경영기반 강화와 화장품 사업 확대를 위해 제3자 배정 유상증자를 진행했다. 유상증자 납입 후 최대주주는 기존 후이만킷 대표이사에서 후이훙위엔 이사로 변경됐다. 후이훙위엔 이사는 지난해부터 회사의 신성장동력으로 화장품 사업 진출에 나섰다. 이번에 확보된 자금 일부는 화장품 사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 사용될 예정이다.
nylee54@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