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 충격 제한적
콘텐츠 강점+시장 지배력
IB들 추세적 상승 예고
이 기사는 4월 18일 오후 2시04분 '해외 주식 투자의 도우미' GAM(Global Asset Management)에 출고된 프리미엄 기사입니다. GAM에서 회원 가입을 하면 9000여 해외 종목의 프리미엄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핌] 황숙혜 기자 = 넷플릭스가 최근 들어 월가의 조명을 받는 데는 실적 호조보다 더 커다란 이유가 자리잡고 있다.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충격이 지극히 제한적이라는 의견이다.
일부 시장 전문가들은 관세 전쟁에 따른 넷플릭스의 실적 타격이 거의 없다고 주장하며 실리콘밸리의 존슨앤드존슨이는 평가를 내놓았다. 필수 소비재 업체만큼 강한 방어주 성격을 지니고 있다는 의미다.
관세로 인해 인플레이션이 상승하고 주머니 사정이 팍팍해 지더라도 소비자들이 축소하는 지출 항목 중 넷플릭스는 마지막 순위일 가능성이 높다는 얘기다.
업체의 주가가 시장 대비 강한 아웃퍼폼을 연출한 것도 이 같은 논리와 무관하지 않다. 2025년 초 이후 넷플릭스 주가는 9.73% 상승했다. 같은 기간 S&P500 지수와 나스닥 지수가 각각 9.98%와 15.53% 떨어진 것과 커다란 대조를 이룬 셈이다.
경쟁 업체들과 비교하더라도 넷플릭스의 강세 흐름은 두드러진다. 4월16일 기준으로 월트 디즈니의 주가가 연초 이후 25.7% 급락했고, 워너 브러더스와 알파벳 주가 역시 각각 25.1%와 19.0% 하락했다.
에드워드 존스의 데이브 허거 애널리스트는 보고서를 내고 "넷플릭스가 소위 '코드 커팅' 이전 케이블 TV 시장을 장악하고 있다"며 "관세 시행에 따른 물가 상승에 소비자들이 외식과 영화관, 콘서트 등의 소비를 줄이더라도 넷플릭스 구독을 중단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경기 하강 기류에 강한 저항력을 지니고 있다는 주장이다.
![]() |
넷플릭스 주가 추이 [자료=블룸버그] |
월가의 구루들 사이에 경기 침체 경고가 꼬리를 물고 있지만 넷플릭스 경영진이 2030년 시가총액 1조달러 목표를 제시한 것은 이 같은 자신감이라고 강세론자들은 강조한다.
델타 에어라인부터 월마트까지 주요 산업 전반에 걸쳐 기업들의 실적 경고와 이익 전망치 하향 조정이 이어지고 있지만 넷플릭스는 1분기 어닝 서프라이즈와 함께 두 자릿수의 연간 매출액 성장을 예고했다.
월가는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가 넷플릭스에 직접적인 타격을 미칠 가능성이 매우 낮다고 본다. 엔비디아(NVDA)와 같이 중국 수출길이 한 순간 막히는 상황이 벌어질 여지가 낮다는 판단이다. 아마존이나 메타 플랫폼스의 온라인 광고 비즈니스와 마찬가지로 넷플릭스의 매출이 한파를 피해갈 것으로 낙관론자들은 예상한다.
![]() |
오징어게임 [자료=블룸버그] |
해밀턴 캐피탈 파트너스의 알론소 무노즈 최고투자책임자(CIO)는 블룸버그와 인터뷰에서 "넷플릭스가 모든 관세 혼란의 피난처"라며 "구독자 기반의 확대와 수익성, 광고 매출까지 펀더멘털 측면에서 빈 틈을 찾기 어렵다"고 말했다.
업체의 콘텐츠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데다 최저 수준의 요금제가 부담스럽지 않기 때문에 경기 하강 기류에도 구독자들의 이탈이 제한적일 것이라고 그는 주장한다.
오펜하이머는 보고서를 내고 "일반적으로 TV 소비자 가치가 침체 기간에 상승하는 경향을 보인다"며 "일례로, 2012년 유럽의 침체 시기에 넷플릭스의 해외 구독자가 더 큰 폭으로 늘어났다"고 전했다.
씨포트 글로벌은 보고서에서 "넷플릭스의 스트리밍은 시간 당 비용이 가장 낮은 엔터테인먼트"라며 "업체는 경기 하강 기류에 대한 방어력과 성장성을 모두 갖추고 있다"고 강조했다.
관세 전쟁으로 인한 달러화 약세 흐름이 넷플릭스에 호재라는 의견도 나왔다. 연초까지 달러화 강세 흐름이 업체의 해외 매출과 수익성에 압박을 가했기 때문이다. 신흥국을 중심으로 해외 시장이 업체의 성장 동력이라는 점에서 의미하는 바가 크다.
미국 온라인 투자 매체 모틀리에 따르면 2024년 기준으로 넷플릭스의 매출액에서 달러 이외 통화의 비중이 60%에 달했다. 구독자 1인당 매출액은 미국과 캐나다 등 북미 지역이 가장 높지만 구독자 수는 신흥국에서 가장 빠르게 늘어나는 실정이다.
또 한 가지 거시경제 사이클의 하강 기류에도 넷플릭스가 외형 성장을 지속하는 비결은 외국어 프로그래밍의 강점이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코로나19) 팬데믹 당시 경기 침체에도 업체가 상황을 돌파한 데는 소위 경제 '셧다운'으로 인해 외출이 어려워지자 스트리밍 소비자들이 늘어난 것 뿐 아니라 외국어 지원이 한 몫 했다.
모틀리 풀은 넷플릭스의 성공이 근본적으로 전세계적인 확산에 뿌리를 두고 있다고 주장한다. 업체가 종종 특정 시장을 위한 프로그램을 제작하지만 국제적인 입지가 강화되면서 예기치 못한 히트작이 나온다는 얘기다.
2021년 한국 드라마 '오징어 게임'이 대표적인 사례로 꼽힌다. 한국 시장을 겨냥해 제작됐지만 전세계 시장에서 뜻밖의 대성공을 거뒀다.
이와 함께 사용자들의 관심을 유지하기 위해 자체 제작한 콘텐츠와 라이선스를 취득한 TV 프로그램 및 영화 사이에서 스트리밍 라이브러리의 양과 질의 균형을 갖추고 있다는 평가다.
넷플릭스가 다양한 카테고리에서 고품질 콘텐츠를 제작하면서도 상당 수의 대히트작을 보유하는 성과를 냈고, 이는 중장기 수익성을 낙관하게 하는 대목이다. 2024년 말에는 크리스마스 당일 두 건의 NFL(미국축구리그) 경기와 제이크 폴-마이크 타이슨 복싱 경기를 스트리밍해 구독자들을 다수 유치했다.
업체의 경영진은 사용자들이 게임이나 복싱 경기 때문에 회원으로 가입한 뒤 인기 시리즈의 후속작 출시로 구독을 유지했다고 밝혔다.
경계의 목소리도 없지 않다. 업체의 주가가 지난 1년과 5년 사이 각각 58.55%와 130.05% 뛴 데 따라 밸류에이션이 부담스러운 수준까지 뛰었다는 지적이다.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넷플릭스 주가는 12개월 예상 실적을 기준으로 37배의 주가수익률(PER)에 거래되고 있다. 이 때문에 관세 충격에 저항력을 지녔지만 주가 변동성이 상승할 수 있다고 시장 전문가들은 경고한다.
한편에서는 EU를 포함한 교역 상대방이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에 대한 보복으로 디지털 서비스에 관세를 부과할 경우 얘기는 달라진다고 지적한다. 디지털 콘텐츠 시장에서 미국이 순수출국이기 때문에 실제로 트럼프 행정부 1기 때도 해당 섹터가 보복의 타깃이었다.
UBS는 보고서를 내고 넷플릭스의 목표주가를 1140달러로 제시하며 매수를 추천했다. 최근 종가 대비 17% 상승을 예고한 수치다.
뱅크오브아메리카(BofA)는 2030년 시가총액 1조달러 목표가 달성 가능하다고 판단하고, 12개월 목표주가를 1175달러로 내놓았다.
한편 4월17일(현지시각) 장 마감 후 1분기 실적을 발표한 뒤 시간외 거래에서 넷플릭스는 3.39% 상승하며 1006.00달러를 기록, 1000달러 선을 회복했다.
shhwang@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