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18일 오후 2시 10주년 기념식 개최
특별기획전 등 다양한 문화행사 진행 예정
해양생물 1만종·60만점 보유 '국내 최대'
[세종=뉴스핌] 최영수 선임기자 = 국립해양생물자원관이 올해 10주년을 맞아 해양생물 보금자리로 우뚝 올라섰다.
해양생물 1만종과 60만점을 보유하고 있는 해양생물 보금자리로서 그 가치가 재조명되고 있다.
◆ 2015년 개관…국내 해양생물 63% 보유
해양수산부(장관 강도형)는 오는 18일 오후 2시 충남 서천군에 위치한 국립해양생물자원관(관장 김현태) 개관 10주년 기념행사를 개최한다고 17일 밝혔다.
해양생물자원관은 해양생물다양성 보전 및 해양바이오 산업 진흥을 비전으로 하는 연구·교육기관으로서 지난 2015년 개관했다.
현재 약 1만종, 60만점의 해양생물을 보유하고 있다. 이는 우리나라 해양생물의 약 63%를 보유하고 있는 것이다. 해양생명자원 통합정보시스템을 운영하며 정보의 표준화와 국제기관과 연계하고 있다.
![]() |
국립해양생물자원관 수장고에 해양생물들이 보존되어 있다. [사진=해양국립생물자원관] 2025.04.17 dream@newspim.com |
또한 화장품, 대사질환 등에 효능을 가진 해양생명자원을 기업 등에 무상으로 분양해 상용화 제품 개발을 지원하는 등 해양생명자원 책임기관으로서 연구 및 관련 산업 진흥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특히 전시공간인 '씨큐리움'을 운영하며 각종 전시행사와 '바다나눔' 등 교육 기능도 수행하고 있으며, 지난 1월 누적 관람객 200만명을 달성한 바 있다.
'씨큐리움'은Sea(바다)+Question(질문)+Rium(공간)의 합성어다. 바다에 대한 호기심을 가지고 질문을 던지며 해답을 찾아가는 전시·교육 공간이라는 의미를 담았다.
![]() |
김현태 국립해양생물자원관장이 전시관 '시큐리움'에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 [사진=국립해양생물자원관] 2025.04.17 dream@newspim.com |
◆ 오는 25일까지 다양한 문화행사 펼쳐
해양생물자원관은 10주년을 맞아 다양한 기념행사를 진행한다.
우선 오는 18일 '초석이 된 10년, 도약하는 10년'을 주제로 하는 기념식을 시작으로 오는 25일까지 8일간 워크숍과 국제심포지엄, 특별기획전 및 문화행사 등 각종 프로그램이 이어진다.
오는 22일에는 제29차 국가생물다양성기관연합(GBIF) 정기총회가 개최되어 국립중앙과학관, 국립생태원 등 관계 기관과 함께 생물다양성 정보를 공유하고 협력을 도모할 예정이다.
또한 24일에는 이탈리아 국립연구위원회, 일본 도쿄과학기술대, 말레이시아 사바대, 국립중앙박물관 등 국내외 기관의 전문가들이 모여 해양생물 연구 및 전시·교육의 미래 발전방안을 모색하는 국제심포지엄이 열린다.
아울러 행사 기간에는 특별기획전 '바다와 10가지 질문'이 운영된다.
이번 기획전에는 국립해양생물자원관이 지난 10년간 선보인 기획전시 중 10개를 선정해 전시한다. 이에 대해 관람객들이 의견을 남길 수 있는 공간도 마련되어 있다.
![]() |
국립해양생물자원관에 전시관에 설치된 벽면 글귀 [사진=해양생물자원관] 2025.04.17 dream@newspim.com |
더불어 다양한 문화행사와 특별교육도 진행된다.
고전 설화 '별주부전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창작 마당극 '토끼가 난감하네'(4.2), 씨큐리움 곳곳에 숨겨진 해양생태 파괴범을 찾아보는 탐정놀이 '수상한 해양 도둑을 찾아라'(4.19∼20)가 예정되어 있다,
또한 해양양생물 페이스페인팅(4.19∼20) 등 다양한 볼거리와 체험 기회를 제공해 가족 단위로 행사를 즐길 수 있다. 문화행사·교육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해양생물자원관 누리집(www.mabik.re.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강도형 해수부 장관은 "국립해양생물자원관은 지난 10년간 우리나라 해양생명자원을 책임지는 대표기관으로서 해양생물 주권 확보와 해양바이오 산업화 지원 등에 적극 기여해 왔다"고 강조했다.
이어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블루카본 확충과 해양생물 종(種) 복원, 해양생명자원 보존과 관리 등 세계적인 해양생명자원 전문기관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라고 강조했다.
![]() |
김현태 국립해양생물자원관장이 전시관 '시큐리움'에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 [사진=국립해양생물자원관] 2025.04.17 dream@newspim.com |
dream@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