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욕=뉴스핌] 오상용 김민정 기자 = 미국 포드 자동차는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자동차 관세가 지속될 경우 5월이후 생산되는 신차의 가격이 인상될 수 있다고 딜러들에게 통보했다.
17일 로이터에 따르면 포드는 딜러들에 보낸 통지문에서 이같이 밝혔다. 포드는 현재 모든 차종을 대상으로 진행중인 할인 프로그램의 경우 6월 2일까지 계속될 테지만, 5월 이후 생산되는 신 모델의 가격은 조정될 수 있다고 했다.
포드 대변인은 로이터에 "고객들은 다양한 선택권을 가질 수 있다"며 "6월2일까지 고를 수 있는 재고도 넉넉하다"고 말했다.
또한 5월 이후 생산된 차량의 가격이 변경되더라도 7월초까지는 고객들이 가격 인상을 체감하지 않을 것 같다고 했다. 딜러들의 기존 재고 차량의 경우 가격 인상 대상이 되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그는 "관세 정책을 둘러싼 상황이 유동적인 만큼 회사는 그 (관세 정책의) 잠재적 영향을 계속 평가하는 중"이라고 덧붙였다.
자동차를 비롯한 생필품 업계의 가격 인상 경고가 잇따르는 가운데 관세발 물가 상승압력으로 연방준비제도(Fed)의 고충도 커지고 있다. 소비자물가 오름세와 경제주체들의 기대 인플레이션이 고조되는 가운데 일자리를 위협할 수 있는 경기 둔화 신호가 깜빡이고 있어서다.
간밤(현지시간 4월16일) 제롬 파월 미 연방준비제도(Fed) 의장도 시카고이코노믹클럽에서 연준의 2가지 책무, 즉 물가안정과 완전고용이 충돌하는 상황이 빚어질 수 있다고 밝혔다. 연준 통화정책이 딜레마에 빠질 수 있다는 이야기다.
파월 의장은 "이중 책무가 충돌하는 상황이 발생한다면 우리는 경제가 각각의 목표에서 얼마나 멀어졌는지, 그리고 해당 격차가 각각 예상되는 범위 내에서 어떻게 좁혀질 것인지를 고려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관세는 최소한 일시적인 인플레이션 상승을 유발할 것"이라면서 "인플레이션 영향은 더욱 지속할 수 있다"고 진단했다. 이는 관세 영향의 규모와 그것이 가격에 전가되는 시간, 인플레이션 기대에 미치는 영향에 달렸다고 했다.
![]() |
미시간 포드 공장 [사진=로이터 뉴스핌] |
osy75@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