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안화 6년 연속 상승· 3.1% 역대 최대…엔화는 수출입 모두 역대 최저
한은 '2024년 결제통화별 수출입' 통계
[서울=뉴스핌] 온종훈 선임기자 = 지난해 우리 수출에서 달러화 결제 비중이 1.4%포인트(p) 늘어나고, 수입에서는 위안화 결제 비중이 0.7%p 늘어나 역대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한국은행은 14일 '2024년 결제통화별 수출입(확정)'에서 작년 통관기준 수출의 미 달러화 결제비중은 전년대비 1.4%p 상승한 84.5%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반면 유로화(-0.8% p), 엔화(-0.3%p) 및 원화(-0.2%p)는 모두 하락했다.
작년 통관기준 수입의 위안화 결제 비중은 전년 대비 0.7%p 상승해 3.1%를 기록했다. 원화(-0.3%p) 및 미 달러화(-0.2%p)는 하락했다. 수입에서 위안화 결제비중은 6년 연속 상승해 통계 작성 이후 역대 최고수준을 기록했다.
반면 수출입에서 엔화의 결제비중은 각각 2.0%, 3.7%로 모두 하락해 역대 최저수준을 기록했다.
한은 관계자는 "대일본 수출은 2011년 396.8억 달러(달러화 환산)를 최대치로 작년 296.1억 달러로 축소 됐고 대일본 수입도 역시 2011년 683.2억 달러를 고점으로 작년 475.9억 달러로 줄어든 영향으로 봐야 한다"고 말했다.
작년 수출에서 달러화(84.5%),유로화(6.0%),원화(2.7%),엔화(2.0%),위안화(1.5%)순으로 5개통화의
결제비중이 전체수출의 96.7%를 차지했다. 수입은 달러화(80.3%),원화(6.3%),유로화(5.7%),엔화(3.7%),위안화(3.1%) 등 5개 통화의 결제 비중이 전체의 99.2%를 차지했다.
한편 결제통화별 수출입통계는 우리나라의 수출입 거래금액(통관기준)을 결제통화별로 구분하여 반기(6개월) 단위로 달러화로 환산해 작성하는 통계로 무역정책 수립 등에 참고 자료로 활용된다.
![]() |
[자료=한국은행] 2025.04.14 ojh1111@newspim.com |
ojh1111@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