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 및 집단 상담으로 심리적 지원 강화
사이버 도박 위험군 대응...164만 명 맞춤 지원
[서울=뉴스핌] 김보영 기자 = 여성가족부는 4월 한 달간 전국 학령 전환기 청소년 164만여 명을 대상으로 '2025년 청소년 미디어 이용습관 진단조사'를 실시한다고 8일 밝혔다.
이번 진단 조사는 여가부가 교육부와 시·도 교육청 등과 협력해 진행하며, 미디어 과다 사용과 사이버 도박 문제에 직면한 청소년을 조기에 발굴하고 맞춤형 치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2009년부터 매년 실시되고 있다.
![]() |
[서울=뉴스핌] 김보영 기자 = 여성가족부는 4월 한 달간 전국 학령 전환기 청소년 164만여 명을 대상으로 '청소년 미디어 이용습관 진단조사'를 실시한다.이 계획은 교육부와 시·도 교육청 등의 협력 하에 진행되며, 4월 한 달 동안 학령전환기 청소년 164만여 명 대상이다.kboyu@newspim.com |
특히 올해는 청소년의 이해를 돕고 보호자의 관심을 끌기 위해 조사 방법과 치유 서비스 내용이 담긴 안내영상이 제작 및 배포됐다.
진단 조사 결과 인터넷이나 스마트폰 과의존 혹은 청소년 사이버 도박 문제 위험군으로 판단되는 청소년에게는 보호자의 동의를 얻어 맞춤형 치유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인터넷‧스마트폰 과의존 청소년을 대상으로 개인 상담과 집단 상담을 실시하며, 추가 심리 검사를 통해 우울이나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등 심리·정서적 어려움이 발견될 경우 종합 심리 검사와 병원 치료를 지원한다.
집중적인 치유가 필요한 청소년에게는 미디어 사용이 제한된 환경에서 전문 상담과 다양한 대안 활동을 제공하는 기숙형 치유 캠프 프로그램을 지원할 예정이다.
사이버 도박 위험군으로 분류된 청소년은 한국도박문제예방치유센터로 연계해 전문 상담 서비스를 제공받게 된다.
최은주 여가부 청소년정책관은 "이번 청소년 미디어 이용 습관 진단 조사가 청소년들이 스스로 미디어 과다 사용 및 도박 경험 등을 점검하고 슬기로운 미디어 이용 습관을 형성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kboyu@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