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경남 등 11개 지역 총 4만 8238㏊ 피해
농업 재해 보험금 신속 지급 및 영농 지원
중상자 1명 추가 사망, 인명 피해 총 75명
[세종=뉴스핌] 김보영 기자 = 정부는 이재민의 일상 회복 및 피해 지역의 공동체 재건을 위한 범정부 복구 대책 지원 본부 가동과 지방 소멸 위기 대응을 포함한 산불 피해 종합 복구 계획을 수립하기로 했다.
2일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이재민을 위한 원스톱 지원을 위해 설계된 중앙 합동 지원 센터에는 77개 기관에서 파견된 112명이 근무 중이다. 현재까지 접수된 민원은 총 648건으로, 전날에는 시설 및 주거 복구 관련 문의가 급증해 243건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 |
[서울=뉴스핌]이길동 기자= 이한경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차장(행정안전부 재난안전관리본부장)이 2일 정부서울청사 중앙재난안전상황실 서울상황센터에서 열린 경북·경남·울산 산불대응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12차 회의를 주재하며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2025.04.02. gdlee@newspim.com |
이한경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차장은 이날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경북, 경남, 울산 산불 대응 중대본 12차 회의에서 "신속한 복구를 위해 중앙재난피해합동조사의 사전 조사를 내일까지 마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 차장은 "정부는 이재민 주거 대책을 넘어서 피해 지역의 지방 소멸 위기 대응을 위한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복구 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라며 "농업 재해 보험금의 신속한 지급을 위해 현장에 손해 평가 인력을 배치하고, 보험금은 최종 결정 이전이라도 우선 지급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영농철을 앞둔 만큼 이재민의 영농 재개를 지원하기 위해 농기계를 무상 임대하고 수리 봉사반도 편성했다"며 "산불 피해를 당한 축산 농가의 붕괴 위험이 있는 축사 시설은 긴급 철거하고 사료 무상 지원 및 자금 우선 배정도 병행할 것"이라고 전했다.
그러면서 "지난 3월까지 강수량은 평년 대비 60% 수준이며, 일부 지역은 절반에도 미치지 않는다"며 "이번 주 청명과 한식을 맞아 산불 예방 수칙을 준수해주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이에 산림청은 산불 예방을 위해 산림에서 흡연하거나 화기, 인화 물질을 소지하는 행위를 집중 단속하기로 했다. 이는 조특보와 강풍이 계속됨에 따라 결정된 조치다.
한편 경북·경남 대형산불로 인해 중상자 1명이 치료 중 사망하면서 총 사망자는 31명으로 증가했다. 중상자는 8명, 경상자는 36명으로 전체 인명 피해는 75명에 달한다.
피해 면적은 11개 지역에서 총 4만 8238㏊로, 이는 서울 여의도의 166배에 해당한다. 특히 경북 의성이 1만 2821㏊로 가장 큰 피해를 입었고, 경북 안동 9896㏊, 청송 9320㏊, 영덕 8050㏊, 영양 5070㏊, 경남 산청과 하동은 각각 1858㏊로 확인됐다.
kboyu@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