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개년 종합계획 수립…28억 투입 매년 1% 감량
[광주=뉴스핌] 이휘경 기자 = 광주시는 음식물류폐기물 감량을 위한 5개년 종합계획을 수립하고 올해부터 본격 추진한다.
광주시는 '기회 도시 광주, 1% 변화로 지속 가능한 미래'를 슬로건으로 매년 1%(연간 1530t)씩 감량해 종합계획 목표를 달성할 계획이라고 25일 밝혔다.
![]() |
광주시 공동주택 RFID 종량기. [사진=광주광역시] 2025.03.25 hkl8123@newspim.com |
시는 2029년까지 5년간 총 28억 원을 투입해 ▲RFID(Radio-Frequency Identification)·감량기 설치 등 감량기반 확대 ▲가정·사업장 발생원별 억제 강화 ▲학생·시민 대상 교육, 홍보 활성화 등 3개 분야 8개 세부 사업을 추진한다.
'감량 기반 확대'를 위해 공동주택 RFID 종량기를 3만 600세대에 총 510대 보급한다. RFID 종량기는 무선주파수 시스템을 통해 음식물 배출량을 세대별로 측정하고 버린 만큼 수수료를 부과한다.
음식점·집단급식소 등 음식물류폐기물 다량배출 사업장에는 감량기 150대를 보급할 계획이다. 감량기는 배출원에서 직접 건조·발효 등 방식으로 음식물류폐기물을 처리한다. 감량 효과가 크고 남은 부산물은 퇴비로 사용할 수 있다.
'발생원별 억제 강화'를 위해 자치구에서 추진 중인 공동주택 감량경진대회, 목표 관리제 등 시민참여 정책을 확대한다.
공동주택 감량경진대회와 사업장 목표관리제는 시민들이 스스로 가정과 사업장에서 음식물류폐기물 감량을 위해 노력하고, 지난해 대비 발생량이 줄어든 곳에 인센티브를 주는 감량 정책이다.
공동주택 감량경진대회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둔 공동주택에 기존 인센티브인 수수료 감면, 상금에서 시장 표창패 수여 등을 추가해 참여를 독려한다.
BIS(버스정보시스템)·전광판·엘리베이터 모니터 등을 활용해 등 우수사례도 홍보한다.
사업장 목표관리제 확대를 위해 자치구별로 필수 참여그룹을 조성하고, 교육청‧한국외식업중앙회 등 유관기관과 협력해 학교·음식점 등에 정책 홍보를 강화한다.
'교육·홍보 활성화'를 위해 광주기후에너지진흥원 전문강사단과 함께 학생·시민을 대상으로 찾아가는 자원순환 교육을 연 250회 규모로 확대한다. 폐기물 처리 과정을 직접 경험할 수 있도록 지역 환경기초시설 현장 견학도 병행한다.
정미경 자원순환과장은 "음식물류폐기물 감량은 시민들의 관심과 동참이 꼭 필요하다"며 "자치구‧유관기관과 협력해 음식물류폐기물 감량을 위한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광주시는 최근 6년(2018년~2023년)간 추진한 음식물류폐기물 감량 정책을 분석한 결과 2023년 음식물류폐기물 발생량은 15만 1422t으로 2018년(17만 3845t) 대비 2만 2423t 감소했다. 처리비용도 22억 원 가량 절감됐다.
hkl8123@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