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매출 평균 12% 줄어
올해도 매출 감소 이어질 듯
[서울=뉴스핌] 서영욱 기자 = 가계 소비가 얼어붙으면서 자영업자들의 사업실적이 크게 악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한국경제인협회가 자영업자 500명을 대상으로 '자영업자 2024년 실적 및 2025년 전망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10명 중 7명(72.6%)은 지난해 매출이 전년 대비 감소했다고 응답했다. 감소 폭은 평균 12.8%로 나타났다.
2024년 순이익 역시 10명 중 7명(72.0%)이 2023년에 비해 감소했다고 밝혔으며, 감소 폭은 평균 13.3%였다.
![]() |
계속되는 경기의 침체속 18일 서울 종로구 대학로의 빈 상가가 새 주인을 기다리고 있다. [사진=뉴스핌DB] |
자영업자 과반은 올해도 이러한 사업실적 악화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올해 매출 전망이 지난해 비해 감소할 것이라는 응답이 61.2%로 나타났다. 올해 순이익 전망도 응답자의 62.2%가 지난해 보다 감소할 것이라고 답했다.
자영업자들이 예상하는 올해 매출과 순이익 평균 감소 폭은 각각 6.5%, 7.2%였다.
자영업자들에게 가장 큰 부담이 되는 경영비용은 ▲원자재·재료비(22.2%) ▲인건비(21.2%) ▲임차료(18.7%) ▲대출상환 원리금(14.2%) 등으로 나타났다.
자영업자들의 평균 대출금액은 2024년 기준 1억2000만원으로, 같은 기간 월 이자 부담액은 84.3만원, 연평균 8.4%의 금리 부담을 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경협은 예금은행의 평균 대출금리가 4.7%고 소액대출 금리가 6.9%인 점을 감안할 때, 상당수 자영업자들이 은행 대출 이외에 제2금융권(비은행금융기관) 등에서도 대출을 받고 있는 것으로 추정했다.
자영업자 10명 중 4명 이상(43.6%)은 향후 3년 이내에 폐업을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폐업을 고려하게 된 주요 이유로는 ▲영업실적 지속 악화(28.2%) ▲경기회복 전망 불투명(18.1%) ▲자금사정 악화 및 대출상환 부담(18.1%) ▲임차료, 인건비 등 상승(11.9%) ▲원재료 가격 상승(11.9%) 등을 꼽았다.
경기회복 시기와 관련해서는 자영업자들의 절반(50.2%)이 올해 하반기와 내년 상반기라고 답변했다.
올해 예상되는 경영 애로사항으로는 ▲경기침체에 따른 소비심리 위축(34.9%) ▲원부재료 매입비 부담(24.0%) ▲임차료, 세금, 수수료 부담(12.3%) ▲대출상환 및 금리 부담(11.6%) ▲최저임금 등 인건비 부담(9.1%) 등의 순으로 응답했다.
자영업자가 필요로 하는 정부지원 대책으로는 ▲대출상환 유예 등 금융지원 확대(22.1%) ▲소비 촉진 방안 확대(20.9%) ▲원부자재 가격 등 물가 안정화(14.0%) ▲임대료 지원 강화(11.7%) ▲공공요금 인상 억제 또는 인하(10.5%) 등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우리 경제의 저성장 구조로 가계의 소비 펀더멘탈이 악화되고 내수가 얼어붙어 수많은 자영업자들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다"며 "자영업자들의 어려움이 지속될 경우 서민경제의 위기가 심화될 수 있으므로 금융지원을 강화하고, 원부자재 가격 안정과 소비촉진 방안을 강화해 소상공인들의 숨통을 틔워줘야한다"고 주장했다.
syu@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