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열대재배 중심지 도약...중앙-지방 협력체계 구축 아열대 기술 선점
동해안지역 거점 농업연구기관 역할...아열대기후 확산 대비 선제적 대응
[안동=뉴스핌] 남효선 기자 = 경북도가 전국 자자체 최초로 아열대작물연구소를 설립하고 아열대기후 확산 대비 선제적 대응에 나선다.
이번에 가시화되는 아열대작목연구소 설립은 이철우 경북 도지사가 민선 8기 시작 당시 제시한 '기후변화 대응 아열대작물연구소' 공약으로 2년 만에 최종 설립을 위한 토대가 마련됐다.
![]() |
경상북도청사 전경[사진=뉴스핌DB] |
아열대작물연구소 설립지로는 포항시가 최적지로 선정됐다.
앞서 경북도는 아열대작물연구소 설립을 위해 도내 22개 시군을 대상으로 대상지 평가용역을 진행했다.
기후적합성, 연구기반 충실성, 지자체 추진의지를 종합적으로 평가한 이번 용역에서 포항시는 저온기 평균기온, 아열대기후 진입도, 미래 기온변화 예측전망, 관련 인프라 구축, 추진 의지 등에서 최적지로 평가됐다.
경북도는 용역보고서에 제안된 결과를 기초로 연구소 설립을 위한 관계 법령 검토를 시작으로 포항시와 공동으로 토지, 건축 등 중장기 예산확보 계획 수립을 위한 행정절차를 준비하고 본격적인 사업 착수를 진행할 계획이다.
경북은 전국 사과 생산량의 60%, 포도 생산량의 56%, 복숭아 생산량의 50%를 차지하는 대표적인 온대과수 생산 지역이지만, 최근 연속되는 폭염과 늦더위 등 기후변화로 기존 과수의 품질 저하 우려가 지속 대두되고 있다.
경북도는 갈수록 심화하고 있는 기후변화에 대응하고 새로운 농가 소득작물로 육성키 위한 경북 아열대작물 육성 5개년 종합계획 수립, 경북도 아열대농업 육성 및 지원 조례 제정, 아열대연구팀 신설 등 기반 조성과 연구 기능 강화, 농가 교육 등 현장 기술지원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아열대작물연구소는 기후변화에 따른 아열대화라는 시대적 과제에 적극 대응하고, 동해안지역에 최초로 설립되는 농업연구기관으로서 동해안지역의 농업 발전, 관광특산물 개발, 지역경제 활성화에 크게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철우 지사는 "30년 후 농업 현장은 아열대기후로 인해 큰 변화를 맞게 될 것이다. 이제 기후변화에 따른 아열대 전환은 선택이 아닌 필수인 시대로 가고 있다"며 "경북도는 지자체 최초 아열대작물연구소 설립을 통해 경상북도가 2025년 과수산업 1번지로 명성을 날렸다면, 2070년 아열대산업 1번지로 명성을 이어갈 수 있도록 대비하겠다"고 밝혔다.
nulcheo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