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양진영 기자 = 김고은, 노상현 주연의 영화 '대도시의 사랑법'에서는 성소수자인 남자 주인공이 나온다. 인기리에 공연 중인 뮤지컬 '킹키부츠'에선 드랙퀸이 화려한 쇼를 선보인다. 최근 젊은세대들을 공략하는 '킬링 콘텐츠'에는 저마다 퀴어 코드가 녹아있다.
오는 11월 10일까지 블루스퀘어 신한카드홀에서 브로드웨이는 물론, 국내에서도 매 시즌 흥행 중인 뮤지컬 '킹키부츠'가 공연 중이다. 영국 노스햄튼의 남성 구두 공장 '프라인드 앤 선'을 물려받게 된 평범한 주인공 찰리는 우연히 아름답고 유쾌한 남자 롤라와 만나 남성들을 위한 부츠를 제작하게 된다. 두 남자가 아버지에게 인정받지 못한 자아와 정체성을 고민하고, 다름을 인정하고, 새로운 꿈을 향해 나아가는 이야기를 담았다.
2024 '킹키부츠' 공연 장면. [사진=CJ ENM] |
국내 무대에서 '킹키부츠'는 이미 10주년을 맞은 흥행 콘텐츠로 자리잡았다. 오만석, 정성화, 강홍석, 최재림, 박은태, 서경수 등 내로라하는 뮤지컬배우들이 여장남자인 롤라 역을 거쳐갔다. 화려한 드랙퀸 메이크업과 반짝이는 의상, 허벅지까지 올라오는 빛나는 킹키부츠를 신은 이들의 비주얼은 관객들에게 아주 색다른 볼 거리를 선사한다. 롤라와 함께 등장하는 6명의 드랙퀸 '엔젤'들 역시 관객들의 애정을 독차지한다.
특히 '킹키부츠'는 가장 평범하면서도, 아버지의 그늘을 벗어나지 못한 주인공 찰리를 통해 관객들의 보편적인 경험과 공감을 이끌어낸다. 주변에 롤라같은 친구가 없어도, 찰리를 통해 롤라를 바라보고 그가 지닌 특별한 정체성을 이해하게 된다.
앞서 뮤지컬 무대엔 '헤드윅' 등 퀴어 서사를 다룬 작품이 많았지만 '킹키부츠'가 특별한 이유는 유쾌함을 잃지 않기 때문이다. 사람과 세상으로부터 받은 차별을 롤라는 남에게 되돌려주지 않는다. 그저 밝은 미소와 에너지로 '사람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라'는 주제의식을 전한다. 롤라로 분장한 강홍석, 최재림, 박은태, 서경수의 4인 4색 드랙퀸의 몸짓과 유머, 춤사위도 관객들에게 값진 메시지와 함께 잊지못할 경험을 선사한다.
2024 '킹키부츠' 공연 장면. [사진=CJ ENM] |
영화 '대도시의 사랑법'은 성소수자의 사랑 이야기를 담은 소설을 원작으로 제작됐다. 극중 재희(김고은)와 흥수(노상현)는 성별이 다르지만, 마치 동성친구처럼 편안한 관계로 나온다. 급기야 동거를 하며 주변에 오해를 사기도 하는 둘은 말로 하지 않아도, 서로의 가장 깊은 내면을 이해하는 소울 메이트다.
흥수는 어릴 적부터 남들과는 다른 정체성을 느끼고 고민하지만, 엄마에게 남자와 만나는 장면을 들키고서도 본인의 정체성을 털어놓지 못한다. 그 후로 어머니는 교회에서 아들을 위해 기도하고 그의 정체성을 부정한다. 누구에게도 들키고 싶지는 않지만, 멈출 수도 없는 내면의 고민을 안고 있는 흥수에게 진짜 모습을 알아주는 친구는 재희 뿐이다. 어머니 세대는 몰라도, 1020세대라면 영화를 보면서 자연스럽게 두 사람이 '짱친'이 된 이유를 납득하게 된다.
'대도시의 사랑법'에선 퀴어의 서사를 자극적이거나 별난 것으로 소비하지 않는다. 다만 그들이 얼마나 상처받는지, 또 주변에 상처를 줄까 두려워하는 지를 그려낸다. 별다른 거부감 없이 '저 사람도 별 다를 것이 없는, 나와 같은 사람'이라는 공감대를 자연스럽게 전달한다. 이같은 표현 방식은 누구에게나 별난 취급을 받는 재희를 묘사할 때도 적용된다. 상대적으로 젊은 세대에게 조금은 익숙한 소재, 전달 방식이 관람 후 호평을 이끌고 있다는 평가다.
영화 '대도시의 사랑법'의 한 장면. [사진=플러스엠 엔터테인먼트] |
문화계에서는 퀴어 콘텐츠를 꽤 오래된, 꾸준한 흥행 코드로 인식해왔다. 실제로 널리 알려진 '킹키부츠'나 '헤드윅' 외에도 다양한 성적 지향을 다룬 공연 작품이나 영화는 꽤 흔하다. 그럼에도 최근 발표된 퀴어 작품들에선 역시 거부감이 들지 않는 표현 방식이 유효했다는 의견이 다수다. '킹키부츠'에서 우스꽝스러울 정도로 과장된 드랙 메이크업을 하고도 한없이 매력적인 롤라를 그려냈다면, 영화에선 좀 더 현실과 맞닿아있는 이야기들로 관객들과 거리감을 대폭 좁혔다.
한 영화 관계자는 "'대도시의 사랑법'이 원작소설과는 조금 다른 내용으로 영화화 됐지만 나와 다른 사람을 이해하려는 주제의식에 젊은 세대들은 공감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기존의 지나치게 선정적이거나 자극적인 내용의 퀴어 콘텐츠보다 요즘은 조금은 다른 방식의 접근법이 중요해졌다. 조금은 경직된 사회적인 편견을 완화하고 문화 소비자들의 진입장벽을 낮춘다는 점에서 '킹키부츠'와 '대도시의 사랑법'이 취한 전략을 주목할 만하다.
jyyang@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