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량일(1602년 10월 26일)과 목수 이름 기록
[서울=뉴스핌] 이영태 선임기자 = 국가유산청은 종로구청과 함께 추진하고 있는 '서울 문묘 및 성균관' 대성전 지붕보수 공사 중에 1602년에 기록된 상량묵서를 발견했다고 25일 밝혔다.
상량묵서는 목구조의 최상부 부재 종도리에 묵으로 건축 과정 관련 정보들을 쓴 기록을 말한다.
'서울 문묘 및 성균관' 대성전 지붕보수 공사 중 발견된 상량묵서. 2024.7.25 [사진=국가유산청] |
지난해 9월부터 진행 중인 보물 '서울 문묘 및 성균관' 대성전 지붕보수 공사 과정에서는 지금까지 다양한 조선시대 건축역사의 흔적들이 발견되고 있다. 지난 4월에는 지붕 해체 과정에서 18m에 달하는 단일 목부재로 제작한 평고대가 확인된 데 이어, 이번에는 종도리 하부에서 상량묵서 기록이 발견됐다.
이번에 발견된 상량묵서에는 1602년 10월 26일에 상량했다는 내용과 목수들의 이름이 기록돼 있다. 조선왕조실록에 의하면 대성전은 1407년 재건됐으나 1592년 임진왜란으로 전소됐다가 선조 35년(1602년) 7월에 중건 공사를 끝냈다고 전해지고 있다.
두 기록 간에 몇 개월의 오차가 있고, 목수와 관련해서도 당대 국가적 건축공사를 담당했던 숙련된 솜씨의 장인들임에도 아직까지 다른 기록에는 같은 이름을 발견할 수 없어 향후 추가적인 조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이번 지붕 해체 과정을 통해 대성전의 내부 천장에서 그동안 밝혀지지 않았던 단청도 발견돼 향후 전통단청 안료와 문양 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될 것이다. 특히 조선왕조실록에 따르면 숙종 30년(1704년) 대성전에 박쥐가 살면서 건물 내부를 더럽히자 이를 막기 위해 반자를 설치했다고 전해지므로, 반자 내부의 단청은 숙종 이전에 시공된 것으로 추정해볼 수 있다.
과거 수차례 이어진 대성전 수리공사 과정(1869년, 1971년, 1973년, 1991년, 2001년)에서도 상량묵서가 발견됐다는 기록이 없고, 숙종 이전에 그려진 것으로 추정되는 단청이 그대로 종도리 부재에 남아있어 이번에 처음 그 모습을 드러냈다는 점에서 가치를 더하고 있다.
현재 도리 해체 단계에 있는 대성전 보수공사는 2025년 2월 마무리될 예정이다. 매주 목요일마다 수리현장을 국민들에게도 공개하고 있으므로 관심있는 국민들은 사전 예약을 통해 선조들의 건축과 관련된 흥미로운 설명을 현장에서 들으며 직접 볼 수 있다.
수리현장 중점공개는 매주 목요일(14:00~14:30, 2024.5~12월) 진행된다. 예약은 종로구 문화유산과로 할 수 있다.
medialyt@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