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이동훈 기자 = 서울시가 공사비 증액으로 갈등을 빚은 재개발 현장에 코디네이터를 파견해 잠실진주아파트·대조1구역·청담삼익아파트 등 3곳에서 합의를 이끌었다고 17일 밝혔다.
정비사업 코디네이터는 현재 대조1구역, 잠실진주아파트, 방화6구역, 청담삼익아파트, 미아3구역, 안암2구역 등 정비사업 현장 6곳에 파견돼 있다.
정비사업 코디네이터는 도시행정·도시정비·법률·세무·회계 분야 전문가로 구성됐다. 이들은 정비사업 분쟁 발생 시 시·구·갈등 당사자와 협의체를 구성해 조정안을 제시하고 갈등을 중재하고 있다.
잠실진주아파트 재건축사업은 시공자가 설계변경, 마감재 상향, 물가상승, 금융비용 등 사유로 공사비 증액을 요구하며 난항을 겪었다. 총회에서 공사계약변경 약정체결 안건이 부결되는 등 시공사와 공사비 관련 협의가 지연됐다. 코디네이터와 시·구·조합·시공자가 함께 참여한 6차 중재 회의를 거쳐 공사비 증액 합의안이 마련됐다. 지난 16일 조합총회를 통해 합의안이 의결돼 하반기 일반 분양 일정이 진행될 예정이다.
![]() |
대조1구역은 조합 내부 갈등과 공사비 미지급 등으로 지난 1월부터 공사 중단 등 극심한 갈등을 겪었지만 서울시 코디네이터 중재 끝에 총회를 통해 새 집행부 구성을 완료하고 공사를 재개하게 됐다.
청담삼익아파트 재건축사업의 경우 시공사가 공사를 중단하고 일반분양 일정까지 연기할 예정이었지만 지난 8일 공사비, 금융비용, 공사기간 등을 조정해 합의를 도출했다. 다음 달 말로 예정된 총회에서 의결을 거친 뒤 본격적으로 일반 분양 절차에 착수할 예정이다.
행당7구역은 SH공사 공사비 검증 시범사업 대상지로 선정돼 조합-시공자 간 합의를 도출했다. 코디네이터가 객관적인 산출 방안을 제안해 양측이 수용 가능한 범위 안에서 증액하는 합의가 이뤄졌다.
한병용 서울시 주택실장은 "급격한 건설공사비 지수 상승과 금리 인상으로 공사비 증액, 공사 중단 등 정비사업 현장 곳곳에서 갈등이 발생하고 있다"며 "상시 모니터링과 현장조사를 통해 공사비 갈등 원인을 사전에 파악하고 공사비 갈등으로 인한 사업 지연 등 조합원 피해 예방을 위해 적극적으로 조정·중재에 나서겠다"고 말했다.
leedh@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