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비농업 고용 17.5만명 증가하며 증가폭 '6개월만 최저'
실업률은 3.9%로 오르며 2년여만에 최고치
CNBC "골디락스 시나리오 뒷받침하는 결과"
[휴스턴=뉴스핌] 고인원 특파원= 미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인하 자신감에 힘을 실어줄 고용 수치가 나왔다. 지난달 미국의 고용 증가 폭은 6개월 만에 최저 수준을 기록했으며 임금 상승률도 예상보다 둔화했다.
고용시장 열기가 이어지며 임금-물가간 악순환으로 인플레이션이 고착화할 가능성을 우려하던 금융시장은 예상보다 둔화한 수치에 일단 안도하는 분위기다.
미 노동부는 4월 비농업 부문 고용이 17만5000명 증가했다고 3일(현지시간) 밝혔다. 6개월 만에 최저치이자 3월 31만5000명(수정치) 수치나 월가 예상치(24만명 증가)도 대폭 하회했다. 다만 30만3000명 증가로 발표됐던 3월 수치는 31만5000명으로 상향됐다.
![]() |
미국 비농업 고용 추이, 자료=CNBC, 2024.05.03 koinwon@newspim.com |
◆ 고용·임금 상승률 둔화...CNBC "골디락스 시나리오 뒷받침하는 결과"
실업률도 3월 3.8%에서 변함없을 것이라는 예상과 달리 3.9%로 0.1%포인트 오르며 지난 2022년 1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일할 의사는 있지만, 구직활동을 하지 않는 한계근로자나 시간제 근로자 등을 반영한 광범위한 체감 실업률인 U6도 7.4%로 오르며 지난 2021년 11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 가운데 인플레이션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시간당 임금 상승률은 예상보다도 둔화했다. 시간당 평균 임금은 4월 1년 전에 비해 3.9% 오르며 3월의 4.1%나 전문가 전망치(4.0%) 보다도 낮았다. 전월 대비로도 0.2% 오르며 3월과 마찬가지로 0.3% 오를 것이라는 시장 전망을 하회했다. 노동 비용은 물가 상승 압력을 높일 수 있어 연준은 고용 수치와 더불어 임금 상승률도 눈여겨본다.
업종별로는 헬스케어 부문의 고용이 5만6000명 늘며 일자리 증가를 주도했다. 사회보장(3만1000개), 운송 및 창고(2만2000개), 소매업(2만개) 등에서도 일자리가 늘었다. 반면 최근 몇 달 동안 견조한 증가세를 보였던 정부 부문 고용은 8000개 증가하는 데 그쳐, 지난 12개월 동안 평균(5만5000개)을 대폭 하회했다.
미국 CNBC는 이번 고용 보고서가 미 경제의 성장이 이어지지만, 연준이 추가 긴축에 나설 만큼 성장세가 빠르지는 않은 골디락스 환경이 지속할 것이라는 전망을 뒷받침하는 결과라고 평가했다.
![]() |
미국의 한 취업 박람회에서 줄을 선 구직자들. [사진=블룸버그] |
◆ 블룸버그 "4월 고용 둔화, 연준의 정책 대응 이끌어낼 정도는 아냐"...뉴욕증시는 '일제 상승'
다만 블룸버그 통신은 4월 비농업 고용 보고서가 노동자에 대한 수요가 완화하고 있다는 추가적인 증거를 보여줬지만, 이번 주 열린 5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이 언급한 정책 대응이 필요한 "예상치 못한 둔화"라고 할만한 정도는 아니라고 짚었다.
앞서 파월 의장은 "지금까지 연준의 이중 책무인 물가 안정과 최대 고용 중 물가 안정에 집중했다면 이제는 고용에 집중해야 할 때"라고 강조하며, 고용 둔화 시 연준이 금리 인하로 대응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지금까지 금리 인하의 요건으로 물가 목표 2%만을 내세웠다면 이번에는 고용시장 둔화도 조건으로 추가했다. 이를 시장은 물가가 좀처럼 잡히지 않고 있지만 결국 하락할 것으로 (연준이) 확신하고 있으며 침체(고용둔화) 조짐이 보이면 즉각 개입하겠다는 의미로 풀이했다.
다만 의장은 "노동시장이 소수점 한 자리 수준의 변화가 아닌 상당히 유의미한 둔화여야 한다"고 밝혀 예상을 뛰어넘는 수준의 고용 악화가 있어야 금리 인하에 나설 것이란 점도 강조했다.
예상을 하회하는 고용 수치에 다우지수가 500포인트 넘게 오르는 등 뉴욕증시의 3대 지수는 1%가 넘는 강력한 오름세로 장을 시작했다.
반면 미 국채 금리와 미 달러화 가치는 일제히 하락 중이다. 미국 10년물 채권 금리는 미 동부 시간 오전 9시 40분 기준 전장 대비 7.4bp(1bp=0.01%포인트) 내린 4.497%를 가리키고 있다. 연준의 통화정책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2년물 금리는 4.785%로 9.2bp 급락 중이다.
주요 6개 통화 대비 달러의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화 지수도 104.84로 전장 대비 0.43% 하락하고 있다.
koinwo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