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은 세계에서 손꼽히는 과학적인 언어이자 아름다운 우리말입니다. 하지만 현실에선 외래어와 외국어 그리고 신조어가 무차별 하게 남용되고 있습니다. 방송과 드라마, 영화, 인터넷과 SNS엔 신조어 등이 넘쳐 남니다. 이에 뉴스핌은 미디어에 쓰인 한글 오남용과 함께 쉬운 우리말을 써야 하는 이유를 풀어 내고자 합니다. <편집자 주>
[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영상 플랫폼이 활성화되고 MZ세대들이 이를 주로 소비하기 시작하면서 1인 미디어 역시 급격하게 늘어나고 있다. 온라인 크리에이터들이 자막으로, 육성으로 내뱉는 신조어들이 짧은 숏폼 콘텐츠로 빠르게 소비되고 있다.
사회관계망서비스(SNS)와 커뮤니티, 숏폼 플랫폼 문화가 MZ 세대들을 중심으로 자리 잡았다. 온라인 크리에이터들 역시 여러 콘텐츠를 제작하면서 한글을 파괴하는 신조어가 늘고 있다.
[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하남자'라는 신조어를 만든 유튜버 겸 웹툰작가 침착맨 [사진=침착맨 유튜브] 2023.10.04 alice09@newspim.com |
최근에는 유튜버들이 사용한 '아불아병', '하남자'가 신조어로 떠올랐다. 유튜버 진용진은 자신의 콘텐츠에 '아불아병'이라는 말을 사용했다. 이는 콘텐츠 상에서 여자 주인공이 시한부인 '아불아병'에 걸렸다는 설정이 더해지면서 해당 뜻을 추측하려는 누리꾼들의 반응이 뜨거워졌다.
온라인 상에서는 '아불아병'이 자폐증 스펙트럼 장애를 가리키는 비속어, 실제로 존재하지 않은 단어라는 추측이 계속되고 있다.
웹툰 작가이자 유튜버 침착맨 역시 '하남자'라는 신조어를 만들었다. 기존에 '상남자'라는 신조어가 아주 남자답다는 뜻을 가지고 있다면, 침착맨은 '상'과 반대가 되는 '하'를 사용해 '남자답지 못하고 속이 좁은 남자'라는 뜻의 하남자라는 신조어를 사용했다.
이외에도 현재 116만명의 구독자를 보유하고 있는 김기훈 역시 과거 킹기훈으로 활동했을 당시 '버억'이라는 자막을 쓴 바 있다. 이는 음식을 먹을 때 붙은 추임새로, 동작을 따라하는 의태어일수도 혹은 입을 벌리는 소리 '버억'으로 해석됐다.
[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버억'이란 신조어를 만든 유튜버 김기훈 [사진=사나이 김기훈 유튜브 캡처] 2023.10.04 alice09@newspim.com |
또 MZ세대들이 SNS로 소통하기 시작하면서 이와 관련된 밈(Meme, 모방 형태로 인터넷 상에서 확산되는 문화요소) 역시 활성화되고 있다. 최근 각종 커뮤니티를 뜨겁게 달군 것이 A씨가 아르바이트하다 외국인 B씨와 겪었던 일화다. 해당 내용은 'A씨가 일하는 곳에 방문해 '너무 예쁘네요'라는 말을 했으나, 알고 보니 '농협은행 어디야'라는 말을 잘못 들었다'는 것이다.
이로 인해 '농협은행'은 현재 '예쁘다'라는 뜻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외에도 신조어는 빠르게 만들어지고 소멸되고 있다. 현재에는 '횰로(현재를 즐기는 욜로와 홀로의 합성어)', '먹Bread(빵을 뜻하는 브레드를 먹는 방송 '먹방'과 연관시킨 신조어)'라는 말이 SNS에서 자주 쓰이고 있다.
신조어는 1인 미디어, 그리고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빠르게 파생되고 있다. 그러다보니 이를 주로 사용하지 않는 세대와 소통이 단절되고, 출처를 알 수 없는 말들로 인해 한글 역시 파괴되고 있는 모양새이다. 콘텐츠크리에이터들 역시 파급력이 커진 만큼 온라인 상에서도 추측이 난무할 정도로 뜻을 알 수 없는 신조어 사용은 지양하고 적절한 줄임말과 준말을 사용해야 할 때다.
alice09@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