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개 컨소시엄...현대차·SKT·카카오모빌리티 등
UAM 사업권 향해 '전력질주'..."전 산업군서 눈독"
'마법의 양탄자'를 타고 자유롭게 날아오르는 동화 속 꿈이 현실로 다가오고 있다. 오는 2025년 선 뵐 도심항공교통 UAM이 꿈을 실현시킬 주인공이다. 이어 2035년 무인자율비행이 가능해지면 완전한 UAM시대가 본격 개막된다. 기대감 만큼 풀어야할 숙제도 많다. UAM이 나가야 길을 찾고 그려갈 미래를 살펴보는 시간을 갖는다.
[서울=뉴스핌] 김지나 정승원 기자 = 신사업으로 미래 먹거리가 될 도심항공교통(UAM) 사업을 두고 완성차, 이통사, 플랫폼 사업자들의 기업 간 합종연횡이 활발하다.
UAM으로 새롭게 하늘길이 열리며 기체 제조부터 항공무선통신, 플랫폼 등 전 산업 영역에 새로운 신사업 기회가 생기는 만큼, 다양한 산업 군에서 UAM을 미래 먹거리로 점찍고 노력을 이어나가고 있다.
[하늘택시 뜬다] 글싣는 순서
1. "인천공항에서 25분이면 잠실" 성큼 다가온 UAM 시대
2. 미국·유럽 2024년 UAM 상용화 자신
3. 2025년 상용화 선언한 UAM, 안전성·공역·요금 등 난제 많아
4. "너무 비싸지 않을까" "사고나면 어쩌지"
5. 사업권 위해 차·이통사·플랫폼 등 '합종연횡'
6. "버티포트 선점하자" 건설업계, UAM 성장성 기대
7. 이통사 UAM 사업, 지자체와 짝짓기...왜?
8. UAM교통 사고 보상은 '드론손해보험' 가입해야
22일 업계에 따르면 정부는 2025년 UAM 서비스 출시를 목표로 잡고 내년부터 전남 고흥에서 기체 및 통신체계 안전성을 검증하고, 2024년에는 도심지와 공항 간 운행 등 실제 서비스 여건과 유사한 환경에서 실증사업을 추진한다.
지난 19일 발표한 '모빌리티 혁신로드맵'을 통해선 실증사업에 참여하는 기업이 2025년부터 시작되는 상용화 사업에도 참여할 경우, 사업권 우선 부여를 검토할 계획을 밝혀 컨소시엄에 참여하는 기업들은 사업권을 따내기 위해 UAM 사업에 보다 고삐를 당길 것으로 보인다.
◆현대차-대한항공-KT '어벤저스'..."기체 자체제작 경쟁력"
현대차그룹 UAM 비전 콘셉트 S-A1. [사진=현대차그룹] |
현재 UAM 컨소시엄으로 구성된 곳은 총 3곳이다. 이 가운데 가장 눈에 띄는 컨소시엄은 UAM 핵심 산업군 1등 기업으로 조합된 현대차 그룹, KT, 인천국제공항공사, 현대건설 조합이다. 이 컨소시엄은 특히 현대차의 제조 능력과 대한항공의 기체 노하우 결합이 기대된다.
현대차는 UAM 사업을 하기 위해 2028년 상용화를 목표로 2019년 UAM 전담부서를 신설했다. 이 부서에선 항공기체 개발을 위한 형상 설계와 비행 제어 소프트웨어, 안전기술 등 핵심 기술 확보에 주력하고 있는 상황이다.
현대차는 UAM 사업을 위해 배터리, 모터, 경량 소재, 자율주행 등 자동차 분야의 핵심 기술도 활용할 계획을 밝혀, UAM 기체에 그동안 쌓아온 현대차의 고도화된 기술들이 결집될 것으로 보인다. 지난 2020년 CES(국제전자제품박람회)에서 공개된 UAM 비전 콘셉트 모델인 'S-A1' 역시 UAM 기술 개발을 이어온 현대차의 노력의 산물이다.
김필수 대림대 자동차학과 교수는 "현대차는 자율주행 기술도 가지고 있는데, 자율주행 기술은 도로보다 UAM으로 공중에 적용하면 사고 가능성도 적어 더 좋을 수 있다"면서 "다른 컨소시엄은 기체를 외국 것을 가져다 쓸 텐데 현대차는 자체 제작 기술 있다는 것이 이 컨소시엄의 핵심"이라고 말했다.
◆SKT의 'K-UAM', "가장 빠른 실제 기체 테스트 기대"
지난 7월 부산 국제모터쇼 전시장 SK텔레콤 부스에서 관람객들이 UAM 체험을 위해 대기하고 있다. [사진=이지민 기자] |
'K-UAM 드림팀' 컨소시엄의 경우 SK텔레콤을 비롯해 한화시스템, 한국공항공사, 한국교통연구원으로 조합돼 있다. 이 컨소시엄의 경우 SK텔레콤의 모빌리티 서비스 'T맵'의 축적 데이터와 플랫폼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과 항공 및 교통과 관련된 공공기관들이 다수 참여해 있다는 점이 강점이다.
'K-UAM 드림팀'은 이미 제주도에서 2025년 국내 최초 UAM 상용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시동을 건 상태다. 제주공항과 주요 관광지를 잇는 시점 운행 서비스를 위해 버티포트(이착륙장)와 UAM 교통관리 시스템 구축에 나선 것이다.
이 컨소시엄에서 SK텔레콤이 기체 제조사로 파트너를 맺고 있는 곳은 미국 기체 제조사인 '조비 에비에이션(Joby Aviation)'이다. 조비 에비에이션은 글로벌 기체 개발의 최선두에 있는 회사로 우버의 UAM 개발 사업부 우버엘리베이트를 인수하면서 UAM 기술 역량을 흡수했다.
또 미국 나사의 UAM 파트너로 실증 테스트도 진행한 한편 미국 연방항공청(FAA)의 인증 세 가지 중 하나를 이미 취득한 상태다. 그만큼 국내 UAM 실증 사업에 속도를 낼 수 있다는 뜻이다.
SK텔레콤 관계자는 "조비 에비에이션은 곧 상용 서비스를 준비하고 있는데, 내년 국토부 주관의 'K-UAM 그랜드 챌린지'가 시작되면 실제 서비스를 하려는 기체를 가지고 테스트에 임하는 곳은 우리 컨소시엄이 유일할 것 같다"면서 "테스트에 있어 한 발작 먼저 시작한다는 점에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모빌리티 플랫폼 강자 카카오모빌리티와 LG U+ 조합
카카오모빌리티 CI. [사진=카카오모빌리티] |
마지막으로 카카오모빌리티를 비롯해 LG유플러스, 제주항공, GS칼텍스, 버티컬 등으로 조합된 UAM 컨소시엄도 있다. 이 컨소시엄 기업들은 네임밸류 면에선 세 컨소시엄 중 가장 밀리지만, 모빌리티 플랫폼 강자인 카카오모빌리티가 참여하고 있다는 점은 강점이다.
UAM 사업에 있어 플랫폼의 역할이 커질 것으로 보이는데, 카카오모빌리티의 경우 택시를 비롯해 대리, 레일바이트, 기차 등 전 영역의 모빌리티 플랫폼 사업을 하고 있는데다, 관련 이용자 데이터도 충분히 확보하고 있어 버티포트 지역 지정 등 다양한 방면에서 차별화된 경쟁력을 갖출 수 있다.
이 컨소시엄은 지난 7월 인구 300만명이 넘은 대도시인 부산시와 손잡고 부산 UAM 상용화 및 생태계 육성을 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 부산시는 컨소시엄과 부산 UAM 회랑 실환경 비행 연구, 권역별 버티포트 입지 조건 및 운용조건 연구 등 부산시 UAM 상용화를 위한 기초연구에 본격적으로 착수하며, 2026년까지 UAM 초기 상용화 1개 노선 이상을 목표로 다양한 실증을 추진할 계획이다.
재계 고위 관계자는 "우리나라는 경제 규모로 보면 중국과 미국에 비해 밀리지만, 도시별로 볼 땐 인구가 밀집해있고 국민들이 IT 친화적인 만큼 도시별 모빌리티 역량이나 발전 정도가 높다"면서 "미래 모빌리티 니즈 역시 높을 것이고, 어느 순간 UAM이 빠르게 도입될 수 있어 전 산업 군에서 덤벼들어 리딩 하려고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abc123@newspim.com origi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