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력 공백 발생하니 돌봄 서비스 무너져
채용 구조 경직성 문제...서사원 재량 확대해야
[서울=뉴스핌] 조정한 기자 = 서울시사회서비스원(이하 서사원)이 인력 공백으로 제대로된 장애인 돌봄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3일 알려졌다. 서사원은 채용 구조의 경직성 문제를 해결하고 인력 충원 재량 확대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3일 서사원에 따르면 뇌병변 최중증 장애인 A 씨를 2인 1조로 지난 2년6개월동안 주·야간 장애인 돌봄서비스를 제공해왔는데 지난 4월 1일자로 일부 담당 장애인활동지원사가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지부장으로 선출(풀타임 근로시간 면제)되면서 인력 공백이 발생했다.
![]() |
이에 따라 장애인의 돌봄 공백을 막고자 동료 활동지원사에게 시간 외 근무 요청을 하는 등 대체 직원 충원을 모색했으나 지난 5월 민간기관으로 이관되는 사태가 발생했다. 서사원은 일요일에서 수요일 주 4회 오전 8시부터 밤 10시까지 A 씨를 돌봤으며, 목요일부터 토요일 주 3회는 민간기관이 각기 일상생활 지원을 위한 서비스를 제공해 왔다.
서사원은 인력 공백에 대처할 만한 방법을 현재 구조로는 세울 수 없다고 주장하고 있다. 서사원은 "9시 출근 6시 퇴근의 평일근무 체계다. 앞서 돌봄을 받지 못하게 된 사례를 위해선 휴일근무, 초과근무가 상시적으로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서사원의 문제는 2020년 체결된 단체협약(제52조-제54조)에 있다. 근로자의 자발적인 동의 없이는 휴일근무, 초과근무를 할 수 없다는 점"이라며 "특히 해당 사례의 경우는 와상 최중증의 서비스 기피 대상으로 강제 근무 명령 없이는 인력 배치가 어렵다. 한 달간 공백을 메운 것도 쉽지 않은 일이었다"고 설명했다.
채용 구조의 경직성도 문제라는 주장이다. 정원 내에서 결원을 충원하는 경우에도 예외 없이 행정안전부 인사지침을 준수하고 서울시와 협의를 꼬박꼬박해야 하니, 결원을 채용하는 데도 2~3개월의 기간이 걸린다는 것이다.
긴급성을 감안하여 정원 내에서의 인력 충원은 서사원에 재량의 폭을 넓혀 줘야 한다는 요구다.
황정일 대표는 "최중증 장애인 이용자를 민간기관으로 이전했다는 사실은 서사원의 잘못이고 대표로서 크게 반성해야 할 부분이다. 이런 일이 되풀이된다면 공공성 추구를 목표로 하는 서사원은 더 이상 존립할 이유가 없다"라면서 "노조와 협의하여 빠른 시일 내에 24시간 근무 체계를 갖추는 한편 결원에 대해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정규직 인력풀을 마련, 채용 과정의 경직성을 해소하여 두 번 다시 같은 일이 벌어지지 않도록 대책을 마련할 것"이라고 밝혔다.
giveit90@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