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무 변제 의지 명백…채권국에 공 넘겨"
"디폴트 개념 모호…시장 반응 고려해야"
"디폴트 선언시 한국도 연쇄효과 가능성"
[세종=뉴스핌] 정성훈 기자 = "러시아가 달러화 표시 채권을 달러로 갚았는지는 불분명하지만, 채무이행 의지가 확고하다는 것은 확인했다. 이제 미국과 서방 국가에 공을 넘긴 셈이다."
정민현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러시아유라시아팀 부연구위원은 21일 <뉴스핌>과의 인터뷰에서 러시아의 채무 이행 의지가 확고하다는 점을 강조하며 실제 디폴트(채무불이행) 가능성을 낮게 봤다.
정민현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부연구위원 [사진=대외연] 2022.02.23 jsh@newspim.com |
앞서 지난 17일 로이터통신 등 외신들은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침공에 따른 서방의 경제제재로 국가부도 위기에 놓인 러시아가 달러화로 지급한 국채 이자를 일부 채권자들이 수령했다고 보도했다.
러시아는 지난 16일까지 만기가 돌아오는 두 종류의 달러 표시 국채에 대해 1억700만달러(약 1316억원)의 이자를 지급해야 하는 상황에 놓였다.
다만 국채 이자를 달러로 갚았는지에 대한 확인은 불분명하다. 앞서 국제 신용평가사 피치는 달러화 국채 2건의 이자를 루블화로 지급할 경우 유예기간 30일이 지나면 채무 불이행에 해당한다는 성명을 발표한 바 있다. 안톤 실루아노프 러시아 재무장관은 지난 14일 "(국채 이자를) 루블화로 지급할 준비가 돼 있다"고 밝히기도 했다.
서방국들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규탄하며 이에 대한 금융제재로 러시아 외환보유액 6400억달러를 동결하고 있다. 이 중 러시아가 국제 시장에 갚아야 할 외화 표기 국채는 390억달러 수준이다.
러시아가 보유한 전체 외환보유액 대비 채무액은 6.1% 수준으로 비중이 크지는 않다. 서방국들의 추가 금융제재 여부에 따라 러시아도 맞대응에 나설 것이라는 분석이다.
정 부연구위원은 지금까지 상황만 놓고 봤을때 서방국들의 금융제재에 대한 러시아의 대응이 최선의 선택이었다고 분석한다. 외환 보유고가 막힌 상황에서도 채무 이행 의지를 확고히 보여줬다는 점을 예로 들었다.
그는 "해외 금융기관이 예치한 러시아 자산을 동결 조치한데 대해 안톤 실러하노프 재무부 장관이 지난 14일 동결된 자산을 통해서 국채 이자를 상환할 수 있다는 식의 얘기를 했다"면서 "쉽게 말해 공을 미국이나 서방국 등 대(對) 러시아 제재에 동참한 국가들에게 넘긴 셈"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아직까지는 러시아가 현명하게 대처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면서 "달러 또는 루블화를 통해서든 어쨌든 채무 이행 의지를 명백히 밝히면서 채권국들에게 책임을 떠 넘긴 셈"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정 부연구위원은 디폴트 개념에 대해 모호한 측면이 있다는 점도 강조했다. 그는 "보통 디폴트라는 것은 채무자가 변제를 할 상황이 여의치 않거나 의지가 없어 개인 파산을 선언하는 것과 같은데, 채무를 상환하지 못하면 보통 15일 또는 한 달의 유예기간이 지나야 실질적인 채무 불이행으로 본다"면서 "근데 이번 같은 경우 일단 안톤 장관이 채무 이행 의지가 있다는 걸 명백히 했기 때문에 서방국들이 디폴트를 선언한다고 해도 시장에서 받아들일 수 있을지 의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안톤 장관이 채무 상환 의지를 명백히 했고, 시장에서도 채무를 이행할 것이라는 기대가 아직까지 남아있을 것"이라며 "일부 국가들은 서방국들의 러시아에 대한 자산 동결이 일방적인 거 아니냐는 목소리가 있을 수도 있다"고 전했다.
러시아 루블화 [사진=로이터 뉴스핌] |
특히 정 부연구위원은 "러시아의 디폴트 선언과 관련해 크게 세 가지 불확실성이 있을 수 있다"면서 "첫 번째는 실질적인 디폴트로 볼 수 있을 것인지, 두 번째는 과연 자산을 동결한 국가들이 각자의 이익에 따라 회사채 상환 부분에 대해서는 부분적으로 자산 동결을 해제할지, 마지막으로 향후 대외 채무에 대해 러시아가 똑같은 방식으로 대응할지 여부"라고 설명했다.
더욱이 "달러화로 표기된 채권을 루블화로 상환할 수 있다는 옵션이 없는 한 달러로 갚는 게 원칙이지만, 서방의 일방적인 대러 금융 제재에 대해 시장이 어떻게 받아들일지 여부도 주목되는 부분"이라고 전했다.
다만 그는 서방국들의 금융제재 압박이 더욱 거세져 러시아가 실제 디폴트를 선언할 가능성에 대해서도 미리 대비할 필요가 있다고 경고한다.
정 부연구위원은 "현재까지 상황으로만 봤을 때 러시아 디폴트 가능성은 낮지만 서방국들의 추가 금융제재 여부에 따라 실제 돈을 갚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해 디폴트를 선언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는 없다"면서 "이 경우 금융 경색이 발생해 당장 금융시장에 충격을 줄 수 있다"고 강조했다.
특히 그는 "카자흐스탄, 우스베키스탄 등 러시아에 대한 무역 의존도가 높고 환율 동조성이 높은 중앙아시아 국가들은 더 큰 충격이 올 수 있다"면서 "이에 대한 연쇄효과로 한국경제에 영향을 미칠 수 있어 미리 대비를 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jsh@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