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드만삭스 "2021년 투자 테마는 가파른 수익률곡선"
FT 칼럼 "인플레 위험 우려한다는 것 자체는 좋은 일"
[서울=뉴스핌] 김사헌 기자 = 올해 전 세계 금융시장을 좌우하던 두 가지 불확실성이 최근 정리되면서 내년 시장의 투자 테마가 검토되고 있다.
당장은 아니지만 코로나19 팬데믹(전세계 대유행)이 유력한 백신 최종임상 성공 소식으로 내년에는 종료될 것으로 보이고, 글로벌 강대국 미국의 대통령 선거도 애리조나주 승리 확정 소식에 따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몽니'에도 불구하고 조 바이든 시대로 정리되고 있는 상황.
이미 금융시장은 요동치기 시작했다. 미국 국채 10년물 수익률이 0.9%를 넘어 1% 부근까지 치솟으면서 수익률곡선 기울기가 2016년 이후 가장 가팔라지는가 하면, 미국 증시에서 소외받던 우량 가치주가 첨단기술주를 누르고 상승장을 주도했다. 비록 기록적인 코로나19 감염 확산세에 주춤하기는 했지만, 투자은행(IB)사이에서 내년 증시 전망은 밝게 나오고 있다. 채권시장은 긴장할 때다.
◆ 골드만삭스 "2021년 투자 테마는 수익률곡선 기울기 강화"
미국 국채 수익률곡선 장기 차트 [자료=뉴욕연방준비은행] 2020.11.13 herra79@newspim.com |
지난 10일 골드만삭스는 연례 투자전망 보고서에서 2021년 글로벌 주요 투자 테마로 "일드커브 스티프닝"를 제시했다. 이들은 명목 뿐 아니라 실질 금리도 장단기 격차가 크게 벌어질 것이라고 예상했다.
골드만의 자크 판들 전략가 등은 "경기 회복이 내년에는 공고해지면서, 정책 당국의 의지대로 단기금리는 낮게 유지되지만 실질성장률과 물가 기대에 따른 장기 금리는 더욱 높아지면서 장단기 금리차가 커질 것"이라며 "이는 연준이 새로운 평균 물가안정 목표를 제시한 미국에서 더욱 그러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들은 내년 말까지 미국 10년물 국채 금리가 1.3%까지 상승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에 비해 2년물 금리는 0.25% 정도까지 오르는데 그칠 것으로 봤다. 2년-10년 금리 차가 최근 70bp대에서 100bp 위로 30bp 이상 올라갈 것으로 본 셈이다. 실질 금리 격차 확대 예상에 대해서는 "국제유가 강세 전망이 맞아떨어질 경우"라는 단서조항을 달았다. 이들은 브렌트유 기준으로 배럴당 65달러까지 50% 급등 전망을 내놨다.
연방준비제도(Federal Reserve)가 경기 과열로 인플레이션이 유발되어도 인내할 것이란 입장을 밝혔기 때문에, 최근 두 달 월가에서는 일드커브 스티프닝은 이미 예고된 것이란 의견이 많았다.
13일 자 파이낸셜타임스(FT)의 질리언 테트 칼럼니스트는 "코로나19 바이러스에 효능이 높은 백신이 나온다는 자명한 소식을 축하할만 하지만, 인플레이션 위험이 다시 고개를 들 것이란 시장의 경고도 함께 나오고 있다"면서 "골드만삭스가 이번 주 내놓은 내년 투자 전망 보고서에서 2021년 핵심 테마가 이 같은 인플레이션 우려 속에 장단기 금리 격차(스프레드)를 기반으로 하는 수익률곡선(Yield Curve) 기울기가 대폭 강화되는 것으로 삼았다"고 소개했다.
테트 칼럼니스트는 또 "영국 자산운용사인 러퍼 앤 윌리스 오웬(Ruffer and Willis Owen)도 경기침체 충격 이후에 정부의 리플레이션 대책들로 인해 물가가 어떻게 뛰어오르는지를 보여주는 20세기 금융 역사의 차트를 보여주면서 인플레이션 위험에 대해 얘기했다"고 전했다.
골드만삭스의 거시경제 전망 [자료=Goldman Sachs] 2020.11.13 herra79@newspim.com |
그는 이어 윌버 로스(Wibur Ross) 미국 상무장관이 이번 주 자신에게 "투자자들이 인플레이션에 대해 다시 생각하기 시작했다고 본다"는 얘기를 했다고 소개했다. 로스 장관이 "물가가 날뛰는 인플레이션"이 등장할 것이라고는 보지는 않지만 인플레에 관한 시대정신의 전환이 등장하면서 금융시장의 가격조정(repricing)을 촉발할 것이라고 예상했다는 것이다.
◆ "오랜 기간 공짜 돈에 취한 시장, 포지션 조정 필요할 수도"
테트 씨는 미국 물가 지표는 인플레이션을 거론할 수준이 아니라는 점을 인정했다. 코로나19 팬데믹 발생 이후 근원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이 1.6%까지 낮아진 상태다. 이런 수치가 저평가된 것일 수도 있다. 이번 주 국제통화기금(IMF) 경제학자들은 팬데믹 기간에 통계학자들이 봉쇄가 소비패턴에 어떤 변화를 주는지를 반영해서 지표들을 갱신하지 않았기 때문에 세계 물가지수가 약 0.23%포인트 저평가되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를 감안하더라도 미국 근원물가는 2% 미만이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도 최근 수요가 오랜 기간 취약할 것이라고 보기 때문에, 물가 압력이 더 높아질 것으로 보지 않고 있다고 자신들의 입장을 설명했다. 더구나 코로나19 팬데믹 이전에도 디지털화 때문에 20세기형 인플레이션이 재발할 위험은 낮다는 것이 통화당국자들의 대체적인 의견이었다.
하지만 테트 칼럼니스트는 "보호주의 물결이 강화되어 디지털 통합 추세가 파괴되지 않는 이상 연준의 판단이 맞을 것 같지만, 투자자들이 인플레이션 위험에 대해서 얘기하는 것은 좋은 일이지 나쁜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그는 "지난 수년 동안 금융시장이 위험할 정도로 일방통행식 베팅에 중독됐고 코로나19 대유행까지 겹치자 마치 물가 상승은 절대 돌아오지 않을 것처럼, 또 시중에 풀린 돈이 공짜인 것처럼 행동하기 시작했다"면서 "이 때문에 채권시장에 장기 위험에 대한 지나친 낙관이 횡행하고 펑키한 금융 구조화, 이른바 '스팩(SPAC) 열풍'이 올해 발생했다"고 환기했다. 이어 그는 "투자자들은 금리가 갑자기 오르면 제로금리 베팅에서 큰 손실이 난다는 것을 잘 알고 있다"면서 "물가 상승이 실물 경제에 위험이 될 가능성은 낮지만 시장이 무턱대고 공짜 돈에 중독됐다가 상황이 바뀌면 충격을 받을 위험은 높다"고 경고했다.
골드만삭스의 거시경제 전망 [자료=Goldman Sachs] 2020.11.13 herra79@newspim.com |
골드만삭스의 거시경제 전망 [자료=Goldman Sachs] 2020.11.13 herra79@newspim.com |
한편 골드만삭스는 이번에 2021년 투자의 10가지 테마로 수익률곡선 스티프닝 외에도 ▲백신이 주도하는 경기민감 자산가격 상승 ▲경기 회복으로의 경로 복잡화 ▲유럽 자산시장 전망 낙관 ▲중국의 힘 강화 ▲새로운 원자재 상품시장 호황 ▲신흥시장 아웃퍼폼 ▲경기순환주와 동북아(한중일)로 순환매 ▲새로운 안전자산과 다변화 찾기 ▲전망의 최대 위험은 코로나 이후 새로운 보건 위기 등 10가지를 제시했다.
herra79@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