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김준희 기자 = DB금융투자는 현대글로비스에 대해 올 3분기 실적은 다소 쉬어갈 것으로 예상되지만 그동안 낮은 밸류에이션으로 저평가됐다고 분석했다. 이에 투자의견은 매수 유지, 목표주가는 23만 원으로 상향했다.
김평모 DB금융투자 연구원은 19일 "지난 2015년 정의선 회장이 현대글로비스의 지분 약 8.6%를 매각한 이후 동사 주가는 운송 기업은 물론이고 현대차 그룹 상장사 중에서도 낮은 밸류에이션을 유지해왔다"고 말했다.
그는 "지난 14일 정 회장 취임 전후 주가 상승에도 불구하고 내년 FWD PER(향후 주가수익비율)은 여전히 11배 수준"이라며 "달라진 역할에 걸맞은 밸류에이션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지적했다.
![]() |
현대글로비스는 신재생 에너지 관련 인프라 사업 진출을 본격화하고 있다. 먼저 10월 내로 규제 샌드박스 승인이 완료되면 현대글로비스는 LG화학, 현대차 등과 함께 전기차 배터리의 리스 및 교환 사업에 진출하게 된다.
수소 충전 사업에도 진출 계획이다. 지난 12일 수소차용 수소 유통 산업 발전을 위한 양해각서를 통해 현대글로비스는 현대제철이 생산한 수소를 각 지역의 수소 충전소에 공급하는 운송 사업을 담당하게 됐다.
다만 3분기까지 실적은 다소 주춤할 전망이다. 3분기에 중국을 제외한 현대차의 해외 공장 판매량은 전년 대비 각각 12% 감소했다. 같은 기간 중국 제외 기아차의 해외 공장 판매량 역시 1% 감소했다. 고객사의 기존 부품 재고 소진과 판매량 감소로 현대글로비스의 반제품 조립 생산(CKD)와 해외물류 매출도 전년 대비 10% 이상 감소할 것으로 추정된다.
김 연구원은 "3분기 실적은 매출액 4조1121억 원, 영업이익 1574억 원으로 컨센서스(1664억 원)를 하회할 전망"이라며 "기존 대비 낮아진 고객사의 생산량 전망을 감안해 올해 영업이익 추정치를 7% 하향한다"고 말했다.
zunii@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