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 발생 40년 만에 육군총장 사과는 처음
"진상규명에도 육군 적극 협조할 것"
[서울=뉴스핌] 하수영 기자 = 남영신 육군참모총장이 육군참모총장으로서는 사상 최초로 5·18 광주 민주화운동에 대한 군의 개입을 사죄했다. 5·18 발생 40년 만이다.
남 총장은 16일 오후 충남 계룡대 육군본부에서 진행된 국정감사에서 "역대 육군총장 중 육군이 저지른 학살에 대해 사과한 사람이 없다"며 설훈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지적하자 "1980년 5월 18일 광주 시민의 민주화운동에 군이 개입된 것은 대단히 잘못됐다"고 말했다.
![]() |
남영신 육군참모총장이 16일 충남 계룡대 육군본부에서 열린 국정감사에 참석했다. 남 총장이 5·18 광주민주화운동에 대한 군의 개입을 사과하며 허리를 숙이고 있다. [사진=육군 제공] |
남 총장은 "이 자리를 빌려서 광주민주화운동 희생자분과 그 유족분들에게 정말로 사죄의 말씀을 드린다"며 "희생자분들의 뜻은 민주화 운동이고 평화를 만들어가는 것이라 생각한다. 반목보다는 화해와 용서가 중요하다"고 밝혔다.
이어 "오늘 저는 진심으로 사죄를 할 것"이라며 "이에 따라서 육군을 응원하고 사랑하는 광주시민이 돼주시길 더불어서 부탁드린다"고 당부했다.
이후 남 총장은 자리에서 일어나 고개를 숙였다. 그러면서 "5·18 진상규명조사위원회에 육군이 적극적으로 협조해야 한다"는 설 의원의 주문에도 "그렇게 하겠다"고 답했다.
한편 앞서 정경두 전 국방부 장관도 지난 2018년 11월 5·18에 대한 군 개입을 사과한 바 있다.
정 전 장관은 당시 5·18민주화운동 당시 계엄군에 의한 성폭력 범죄 행위에 대해 "무고한 여성분들께 말로 다할 수 없는 깊은 상처와 고통을 드린 점에 대해 정부와 군을 대표하여 머리 숙여 사죄의 말씀을 드린다"며 고개 숙여 사과했다.
suyoung0710@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