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순정우 기자 =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김승원 의원(더불어민주당, 수원시갑)이 12일 문화재청 국정감사에서 전수교육확대를 통해 전수교육의 대가 끊길 위험에 처한 무형문화재 보호 방안을 제안했다.
12일 국회에서 열린 문화재청 국정감사에서 질의하는 김승원 의원 [사진=김승원 의원실] 2020.10.12 jungwoo@newspim.com |
김승원 의원실에서 문화재청에 확인한 결과, 4건의 무형문화재가 보유자·보유단체가 없어 전수교육이 불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바디장(제88호), 나주 샛골나이(제28호), 백동연죽장(제65호), 배첩장(제102호)가 이에 해당한다. 또한 35개 종목이 이수자가 고령이거나 기술 전수가 어려워 전수자 계승이 위기에 처한 것으로 밝혀졌다.
사정이 가장 심각한 종목은 바디장이다. 보유자였던 구진갑 씨가 별세한 2006년 이후 14년째 보유자가 없는 실정이다. 마지막 전수조교 또한 20년 전에 사망해 현재 바디장은 전수교육을 할 수 있는 사람도 없는 것이다. 유일하게 혼자 남아있는 이수자마저 사라진다면 국가지정무형문화재 제88호는 지정해제되는 수순만 남게 된다.
보유자가 있는 다른 무형문화재들 중 일부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전통장(제93호)과 윤도장(제110호) 보유자는 90세를 바라보는 고령자이며, 선자장(제128호) 한지장(117호) 또한 여든에 가까운 나이다. 네 종목 모두 전수조교 없이 이수자 1~2인만 남아있는 상태여서 보유자가 사망할 경우 바디장의 전철을 밟게 된다.
보유자를 대체할 전수교육 방안이 아예 없는 것은 아니다. 김 의원은 전승취약종목의 전수교육을 보완할 수단으로 현재 운영 중인 '전수교육학교'의 확대를 제안했다.
문화재청와 국립무형유산원은 2017년부터 보유자를 대신해 전수교육을 실시하기 위한 '전수교육학교'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한국전통문화대학교를 시작으로 운영된 전수교육학교는 운영 4년차에 접어들어 올해 첫 이수자를 배출하기에 이르렀다.
하지만 김 의원이 2020년 현재 운영현황을 살펴본 결과 단청장, 목조각장, 사기장 등 소위 '상품성' 있는 종목을 위주로 운영되고 있다.
김 의원은 "전통문화의 계승과 발전을 위해 선도적으로 나서야 할 한국전통문화대학교가 인기종목에만 치중하는 것 같아 유감"이라고 지적하며, "적어도 '선생님'이 없어서 배우지 못하는 사태 만큼은 막아야 한다. 한국전통문화대학교가 전승취약종목에 대한 전수교육학교의 확대에 앞장서야 한다"라고 커리큘럼 확대를 주문했다.
jungwoo@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