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팡 '쿠팡이츠'·위메프 '위메프오' 지속적 성장…점유율 확대 나서
견고한 1·2위…배달의 명수 등 공공배달앱 시장 확대 '변수'
[서울=뉴스핌] 장주연 기자 = 배달앱 후발주자로 뛰어든 '쿠팡이츠' '위메프오'의 가파른 성장에 '배달의 민족' '요기요' '배달통' 등 독점적 삼강구도에도 균열이 감지됐다. 후발주자들은 기세를 몰아 점유율 높이기에 나서고 있지만 이를 바라보는 업계 시각이 마냥 긍정적이지만은 않다.
24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음식 배달 거래액은 1조242억원으로 나타났다. 음식 배달 거래액이 1조원을 넘긴 건 2001년 이후 처음으로 2018년 동기간과 비교하면 100.3%(5128억) 증가했다. 주문, 결제 과정이 간소화되고 1인 가구가 늘어나면서 배달앱이 대중화된 까닭이다. 여기에 올 상반기부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까지 더해지면서 배달앱 사용자는 더욱 늘어났고 사업에 뛰어드는 업체 역시 해마다 늘고 있다.
[사진=쿠팡이츠·위메프오 앱 갈무리] 2020.07.23 jjy333jjy@newspim.com |
◆ 쿠팡 '쿠팡이츠'·위메프 '위메프오' 활약 두드러져
후발주자 중 눈에 띄는 성장세를 보이는 건 쿠팡의 쿠팡이츠다. 지난해 배달앱 시장에 도전장을 내민 쿠팡이츠는 '빠른 배송'을 무기로 시장 점유율을 높이고 있다. 애당초 쿠팡은 '로켓 배송'이라고 불리는 빠른 배송에 대한 사용자들의 만족도가 높아지면서 식·음료 배달 요청까지 늘어나자 배달앱 사업에 뛰어들기로 결심했다.
당연히 차별 전략으로도 빠른 배송을 내세웠다. 쿠팡이츠는 처음부터 1대 1 배차 시스템을 도입했다. 타 업체처럼 한 배달원이 여러 곳의 식당을 방문, 배달하는 방식이 아니라 한 명의 배달원이 한 곳의 배달만 책임지는 형태의 서비스다. 이로 인해 자연스레 배달 시간이 줄어들면서 고객은 따뜻한 상태의 음식을 먹을 수 있게 되는 선구조를 만들었다.
고객 만족도는 생각보다 높았다. 앱 사용자 최(30)씨는 "소비자 입장에서는 빠른 배달이 가장 마음에 든다"며 "음식이 식어서 오는 경우가 드물다"고 평가했다. 사용자도 늘고 있다. 모바일 빅데이터 플랫폼 기업 아이지에이웍스에 따르면 지난 6월 쿠팡이츠 사용자는 39만1244명(안드로이드OS 기준)으로 그간 업계 3위였던 배달통(27만2139명)을 앞섰다.
이에 힘입어 쿠팡이츠는 세력 확장에 나설 계획이다. 강남권에서 시작한 쿠팡이츠는 지난 6월을 기점으로 서울 전역으로 영역을 확대했다. 최근에는 경기도 기흥과 수지구까지 배달 지역을 확장했으며 향후 지방으로 넓혀갈 계획이다. 쿠팡이츠 관계자는 "구체적으로 정해진 건 없지만 지금처럼 점진적으로 서비스 지역을 늘려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위메프의 배달앱 위메프오도 쿠팡이츠 못지않게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위메프가 신사업으로 지난해 4월 출시한 위메프오는 1년 만에 거래액이 25배 신장했다.
위메프오가 출발하면서 차별화 전략으로 삼은 건 쿠팡이츠와는 다른 '가맹점과의 상생'이었다. 입점 업체가 많아야 경쟁력이 있다고 판단한 거다. 실제 쿠팡이츠는 지난 1년간 가맹점주 모시기에 열을 올렸다. 일례로 2년간 중개수수료를 동결하거나 광고·입점 비용을 받지 않았다.
그 결과 입점 업체 수는 1년 만에 41배 이상 큰 폭으로 늘었다. 현재 입점 업체 수는 2만여개. 입점 업체 증대는 고객 수와 비례했다. 입점 업체가 다양해지면서 주문할 수 있는 메뉴 폭이 넓어지자 이용자도 늘어난 거다.
해당 전략이 통하자 위메프오는 계속해서 가맹점주 모시기에 집중하고 있다. 최근에는 '중개수수료 무료'를 선언했다. 가맹점주들은 9월부터 건당 5% 정률 수수료와 주 8000원(서버비용) 정액 수수료(중개 수수료0%) 가운데 원하는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위메프오 측은 "이번 정책으로 위메프오 플랫폼 내 입점업체가 더욱 늘어날 것"이라고 기대감을 드러냈다.
[서울=뉴스핌] 백인혁 기자 = 배달앱 '요기요' '배달통' 등을 서비스하는 딜리버리히어로코리아 서초구 딜러버리히어로 사옥 모습. 2020.06.26 dlsgur9757@newspim.com |
◆ 위협 단계까진 '아직'…공공배달앱 시장도 확대 추세
물론 아직 배달의 민족, 요기요 등을 위협하기에 이들의 시장 점유율이 미미한 건 사실이다. 배달의 민족, 요기요의 기존 점유율이 압도적이기 때문이다. 아이지에이웍스 기준 지난해 11월 기준 배달의 민족, 요기요 사용자 수는 각 885만7421명, 490만3213명으로 나타났다. 같은 시기 쿠팡이츠(18만5519명)와 비교하면 약 48배, 26배 많은 수치다.
여기에 지자체들의 공공배달앱 시장도 커지고 있다. 군산시의 '배달의 명수'는 출시 4개월 만에 주문금액 30억원 돌파했고 인천 서구가 운영 중인 '배달 서구'는 지역 내 배달업소 1552곳 중 73%(1137곳)가 등록했다. 경기도도 최근 파주시를 '공공배달앱(가칭)' 구축사업 서비스 시범 지역으로 선정하고 사업 진행에 돌입했다.
이 외에도 충북도, 서울시, 부산 남구, 부산시 등도 공공배달앱 서비스를 준비 중이다. 공공배달앱은 모두 수수료가 0%라 위협이 될 거란 의견이 지배적이다.
한 업계 관계자는 "쿠팡이츠 등 후발주자들이 치고 올라오는 속도가 생각보다 빨라 위협적이다. 배달통은 금방 따라 잡을 것"이라면서도 "그럼에도 배달의 민족과 요기요의 점유율이 워낙 크고 여러 지자체에서 공공배달앱을 내놓고 있는 만큼 점유율이 압도적으로 확대되진 않을 것"이고 내다봤다.
한편 일각에서는 쿠팡이츠, 위메프오 등 후발주자와 공공배달앱의 성장이 배달의 민족과 요기요·배달통 운영사 딜리버리히어로(DH)의 기업결합 심사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고 보고 있다. 이들의 점유율이 높아지면 독과점 논란을 피할 수 있어 합병이 유리해진다는 설명이다. 공정거래위원회는 지난해 12월 배달의민족과 DH 기업결합 심사에 착수한 상태다.
jjy333jjy@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