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숙혜의 월가 이야기
[뉴욕=뉴스핌] 황숙혜 특파원 = S&P500 지수의 시가총액 20%를 차지하며 뉴욕증시의 최고치 랠리를 이끌었던 이른바 FAANG(페이스북, 아마존, 애플, 넷플릭스, 구글 모기업 알파벳)의 상승 동력이 한풀 꺾였다.
최근 1년 사이 수천억 달러에 달하는 시가총액이 증발한 것은 물론이고 올해 상반기 주가 반등에도 이들 종목의 고점을 탈환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월가 [사진=로이터 뉴스핌] |
시장 전문가들은 미국의 경기 침체 리스크를 겨냥한 새로운 포트폴리오 전략을 권고하고 있다.
26일(현지시각)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지난해 8월 이후 FAANG의 시가총액이 4150억달러 줄어들었다. 이들 5개 종목의 시총 총액은 3조7000억달러로 감소한 상황.
최근 1년 사이 페이스북이 3% 가량 올랐을 뿐 알파벳(5.3%)과 애플(4.47%), 아마존(7.16%), 넷플릭스(17.79%) 등 IT 대장주가 일제히 내리막길을 타고 있다.
중국과 무역 마찰을 필두로 트럼프 행정부의 독과점 규제, 프랑스의 이른바 디지털세까지 국내외 정책 리스크가 맞물리면서 관련 종목의 투자 매력을 떨어뜨리고 있다는 지적이다.
이는 펀드매니저들의 포트폴리오 운영에서도 두드러진다. 골드만 삭스에 따르면 페이스북과 아마존, 애플, 넷플릭스가 주식형 뮤추얼 펀드의 주요 종목들 가운데 가장 크게 비중 축소된 것으로 파악됐다.
골드만 삭스는 보고서에서 “IT 공룡 업체들이 수익성 악화와 이익률 하락, 규제 리스크와 무역전쟁에 따른 불확실성까지 제각각 굵직한 악재에 시달리고 있다”며 “해당 종목의 보유 물량을 상당폭 축소했다”고 전했다.
일부에서는 수년간 강세장을 이끌었던 주도주의 기류 변화가 증시 전반의 하강 기류를 예고하는 것이라는 의견을 내놓았다.
사이노버스 트러스트의 댄 모간 수석 포트폴리오 매니저는 WSJ과 인터뷰에서 “과거 1970년대 초반 코카콜라와 질레트 등을 포함한 소위 ‘니프티 피프티’의 강력한 랠리는 1973~1974년 베어마켓으로 귀결됐다”며 “소수의 주도주에 상승 동력이 집중될 때 일반적으로 뒤끝이 좋지 않다”고 주장했다.
시장 전문가들은 무역 전면전의 장기화 양상과 각국 중앙은행의 통화정책 기조 변화, 여기에 경기 침체 리스크까지 최근 수 개월 사이 전개된 상황이 FAANG에 집중됐던 포트폴리오 운용 전략의 수정을 부추기고 있다고 전했다.
이날 미국 투자매체 CNBC는 월가의 투자은행(IB) 업계가 시장금리 하락과 추세적인 경기 하강 기류에 대비한 포트폴리오 재정비에 본격 나섰다고 보도했다.
휘트니스 업체인 플래닛 휘트니스와 중저가 패션 유통 매장 TJX, 리조트 업체 아쿠아벤처, 안경 업체 내셔널 비전 홀딩스 등이 유망주로 꼽혔다.
웨드부시는 관세 충격과 실물경기 한파 속에 TJX가 가격 경쟁력을 앞세워 강한 저항력을 보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아마존을 필두로 전자상거래 업체가 소매시장을 잠식하는 악조건 속에서도 TJX가 ‘침체 리스크에 대한 해법이라는 주장이다.
웰스 파고는 내셔널 비전 홀딩스가 상대적으로 관세 충격이 낮다는 점에서 매력적이라고 평가했다. 이와 함께 시장 점유율 상승을 포함해 중장기 성장 가능성도 강력하다는 분석이다.
이 밖에 RBC 캐피탈은 최고급 리조트 아쿠아벤처가 무역 마찰과 경기 하강 기류 속에 지난 2분기 어닝 서프라이즈를 연출, 방어주의 매력을 확인시켰다고 주장했다.
higrace@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