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북제재 여전히 강력하고 북한의 개혁·개방 과정 아직 불투명"
"리스크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으로 다양하게 추진돼야"
[서울=뉴스핌] 김진호 기자 = 민간은행의 북한 진출이 점진적이고 다양한 방법으로 추진돼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유엔의 대북제재가 여전히 강력하고 북한의 개혁·개방 과정이 아직 불투명한 만큼 리스크를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다.
![]() |
19일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진행된 '대북제재 완화 이후 남북경협 활성화를 위한 금융의 역할' 세미나. [사진=김진호 기자] |
배현기 하나금융경영연구소장은 19일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진행된 '대북제재 완화 이후 남북경협 활성화를 위한 금융의 역할' 세미나에 참석해 '민간은행의 대북 금융협력 방안'을 주제에서 이같이 발표했다.
배 소장은 "북한의 사회주의 개혁·개방 과정이 아직 어느 단계에 있는지 명확하게 설명하기 어려운 단계에 있다"며 "국내 민간은행들도 이에 대응해 점진적인 관점에서 다양한 방법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배 소장에 따르면 북한의 사회주의 개혁·개방 단계는 현재 개혁사회주의에서 중국과 베트남이 취하고 있는 시장사회주의로 진화하는 과정에 있다.
우선 배 소장은 민간은행들이 북한에 대한 유엔 등 국제사회의 신뢰구축 프로그램에 참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북한과 신뢰를 구축하는 한편 비즈니스 기회를 모색할 수 있는 좋은 기회란 지적이다.
그는 "북한은 개혁개방 초기 단계에서 국제기구의 기술적 지원을 적극 수용할 것으로 보인다"며 "대북한 지식전수와 개발역량 강화를 위한 기술지원은 국제사회와 협력하는 것이 현실적인 방안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기업금융 차원의 금융지원도 함께 검토할 필요성이 있다고 강조했다.
배 소장은 "북한개발신탁기금, 대북투자기금 등이 진행하는 대북 투융자 사업에 참여하는 것을 긍정적으로 검토해야 한다"며 "향후 본격적인 북한 진출에 대비한 사전적 시장조사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민간은행의 진출이 가시화될 경우 지점 설립보다는 저위험 진출방식으로 기회를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은행업이 발달되지 않은 국가에 낮은 리스크를 가지고 진출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며 "캄보디아, 미얀마 등 은행업 발달수준이 낮은 국가에 마이크로 파이낸스와 유사한 형태로 진출하는 것이 유리할 것으로 본다"고 설명했다.
배 소장은 "이를 종합했을 때 민간은행의 적극적인 대북 금융협력을 위해선 북한에서 투자환경 조성이 우선될 필요가 있다"며 "예를들어 북한의 적극적인 해외자본 유입을 위해 국제통화기금(IMF) 가입 등 최소한의 요건이 충족돼야 한다"고 말했다.
rplkim@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