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여성인권진흥원 30일 오후 가정폭력 예방 토크콘서트 개최
"가정폭력, 익숙함·친밀함 속에 은폐돼"
'인식 문제'에 대한 지적 커... '솜방망이 처벌'도 지적
[서울=뉴스핌] 김준희 기자 = "BMW 화재 사건에 대해서 얘기해보겠습니다. 한 대가 타면 ‘그냥 그렇구나’ 하고 두 대가 타면 경각심을 갖게 됩니다. 세 번째는 ‘내 것도 불타는 거 아닌가’ 생각하게 됩니다. 이게 정상인데 가정폭력은 개인의 일탈이 되는 게 신기합니다.” (서민 단국대 의과대학 교수)
“왜 가정폭력은 이토록 은폐되는가로 질문을 바꿔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바깥이라는 공간은 위험하고 집안은 따뜻한 안식처라는 이미지를 갖고 있습니다. 이 때문에 폭력은 굉장히 예외적인 취약 과정에서 생긴다고 가정되며 친밀함을 가장한 폭력에 대한 은폐가 만연합니다.” (김순남 성공회대 민주주의연구소 연구교수)
한국여성인권진흥원은 30일 오후 7시 서울 종로구 마이크임팩트 스퀘어에서 가정폭력 예방을 주제로 한 토크콘서트 “보라! 가정폭력은 왜?”를 개최했다.
콘서트는 사전질문을 기반으로 5명의 패널들과 약 100명의 관객이 자유롭게 소통하는 형식으로 진행됐다.
30일 오후 7시 서울 종로구 마이크임팩트 스퀘어에서 열린 가정폭력 예방 토크콘서트에서 패널들이 의견을 주고 받고 있다. zunii@newspim.com 2018.08.30 [사진=김준희 기자] |
가정폭력은 왜 발생하는 걸까. 김순남 성공회대 민주주의연구소 연구교수는 가정 내 성역할을 공고히 하는 사회관념의 문제를 꼬집었다.
김 교수는 “우리나라는 가정이면 안정과 평화를 유지하기 위해 참아야 한다는 인식이 강하다”며 “이런 책임이 여자에게 있다고 생각하므로 정상적인 여성의 이미지가 폭력을 은폐하고 여성 스스로 죄책감을 갖게 만든다”고 말했다. 전통적 성역할에 대한 공고한 가치가 폭력을 정당화 한다는 지적이다.
김 교수는 또 “가정폭력은 개인과 개인 간의 문제일 수 있지만 사회적 위치에 따라 폭력이 행사되는 경우도 있다”며 결혼이주여성과 성소수자 자녀 등의 이야기를 꺼냈다.
그는 “가정폭력은 사회적으로 차별 받고 있는 소수자 문제와 연결될 수 있다”며 “(사회적) 성 인권과 감수성 자체가 가정 내 폭력과 직접적으로 연결된다”고 분석했다.
권은선 영화평론가는 영화를 소재로 가정폭력이 갖는 사회적 악영향을 소개했다.
권 평론가는 영화 <똥파리>를 예로 들며 “아버지가 자식에게 하는 폭력엔 단계가 있다. 처음엔 작은 흠을 잡고, 폭력이 이어지고, 반복되고, 학습된 무기력으로 이어진다. 동시에 폭력 역시 학습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이런 영화는 우리 사회의 지배 이데올로기를 보여주는 역할을 한다”며 “영화 <똥파리>는 가정폭력이 얼마나 상흔을 남기는지 설득력 있는 보여준다”고 덧붙였다.
30일 오후 7시 서울 종로구 마이크임팩트 스퀘어에서 열린 가정폭력 예방 토크콘서트에서 관객들이 집중하고 있다. zunii@newspim.com 2018.08.30 [사진=김준희 기자] |
변미혜 함께걷는아이들 활동가는 “가정폭력 가정의 자녀들이 폭력에서 벗어나기 위한 적극적인 시도와 노력을 해도 사회가 이들에게 해주고자 하는 건 가정 복귀”라며 “사회가 어떤 대안을 갖지 못하니까 생기는 어려움도 있다”고 부연했다.
‘왜 한국의 법은 가해자 처벌보다 가정의 유지 및 보호를 중요하게 생각하냐’는 질문에는 조주은 입법조사관이 답했다.
조 조사관은 “가정폭력을 엄벌하면 재판 과정 등을 거치며 이혼 가능성이 높아진다”며 “국가 입장에선 이혼 가정이 많아지면 관련 사회복지 비용이 실제로 많이 들어간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사회복지 비용을 줄이고 가정을 유지하게 하는 것이 국가적 비용이 적게 들기 때문에 유지를 지원하는 쪽으로 법이나 제도가 설계돼 있다”고 주장했다.
가정폭력에 대한 대응은 어떻게 바뀌어야 할까. 유일한 남성 패널, 서민 단국대 의과대학 교수의 대안이 답이 될 수 있을까.
“사회적으로 친일파 대하듯이 대하면 됩니다. 법적 처벌이 부족하더라도 가정폭력을 일으킨 사람은 사회적으로 매장되는 분위기가 만들어진다면 줄어들지 않을까 싶습니다.”
zunii@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