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룸버그통신, 한국 정부 관계자 인용 보도
[뉴스핌=노민호 기자] 문재인 대통령이 평창 동계올림픽 이후 북한을 자극하지 않는 선에서 한·미 연합훈련을 실시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와 눈길을 끌고 있다.
![]() |
'2018 평창동계올림픽 폐회식'이 25일 오후 8시 강원도 평창 올림픽스타디움에서 열려 17일간의 여정을 마무리하고 대단원의 막을 내리는 가운데 문재인 대통령이 인사하고 있다. /2018평창사진공동취재단 |
26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익명을 요구한 한국 정부 관계자는 “문 대통령이 북한의 대응을 촉발하지 않는 방식으로 한·미 연합훈련을 예정대로 진행할 방법을 모색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그러면서 “이는 북·미 대화를 유도하고 더 나아가 남북 정상회담의 기틀을 닦을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한·미 군 당국은 평창 동계올림픽과 패럴림픽이 끝날 때까지 한·미 연합훈련 실시하지 않기로 했다. 다만 구체 일정은 올림픽 이후에 발표할 방침이다.
이에 현재 형성된 ‘남북 화해 무드’는 평창 동계올림픽 이후가 더 중요하다는 지적에 힘이 실리고 있다.
북한은 그동안 북한의 도발에 대응하기 위한 연례적·방어적 성격의 한·미 연합훈련을 두고 '전쟁연습'이라며 비난을 일삼아 왔다. 또한 대미·대남 협박도 서슴지 않았다.
전례에 비춰 볼 때 북한이 한·미 연합훈련 실시에 반발, 또 다시 무력 도발을 실시한다면 한반도 정세가 급랭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뉴스핌 Newspim] 노민호 기자 (noh@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