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대 최대 규모 신차 출시... 수입차 성장률 10%대 국산차는 1% 감소
국산차, 엔저로 수출경쟁력도 약화되며 수출·내수·생산 감소 전망
[ 뉴스핌=한기진 기자 ] 2018년 국내 자동차 시장은 '수입차 전성시대'가 예상된다. 현대기아차를 비롯해 한국GM, 르노삼성, 쌍용자동차 등 국내 완성차 업체는 내수·수출·생산 모두 모두 고전이 예상된다. 반면 수입차는 폭스바겐, 아우디의 2년만의 영업재개와 수입차를 선호하는 고소득층 구매자 증대로 두자릿수 성장이 예상된다. 2018년 한국자동차시장의 특징과 각 브랜드별 전략을 살펴본다. [편집자]
2018년 ‘황금개띠’ 해는 신형 자동차가 역대 최대규모인 ‘80종’ 출시된다. 수입 브랜드들이 10% 대 성장을 기대하면서 공격적인 신차 출시를 준비하고 있다. 반면 국내 자동차업체는 내수·수출·생산이 1%대로 줄어드는 3년 연속 '트리플 감소'가 예상된다.
26일 자동차산업협회에 따르면 내년 출시되는 국산 신차(부분변경모델 포함)는 현대기아차, 한국GM, 르노삼성차, 쌍용차 등 20여종으로 올해와 비슷하다. 반면 수입자동차는 디젤게이트로 영업정지를 당했던 폭스바겐과 아우디의 판매재개로 60여종에 달할 전망이다. 국산과 외산을 합쳐 80여종으로 올해보다 10여종 늘어난다.
![]() |
2018년 자동차 내수시장 전망 <그래프=자동차산업협회> |
신차 증가로 내년도 수입차시장은 올해보다 두 자릿수 성장한 26만대~29만대로 전망된다. 근래 가장 많았던 2015년(신규등록대수) 24만3000대보다 최소 2만대 이상 성장이 예상된다. 영업정지를 당하기 직전 수입차시장 비중이 26%(2015년말)에 달했던 아우디, 폭스바겐이 판매 재개 영향이 크다.
한국수입자동차협회 윤대성 부회장은 "아우디, 폭스바겐의 판매재개와 함께 시장회복 및 확대를 위한 각 브랜드별 적극적인 움직임이 시장 내 활력을 불어 넣을 것으로 예상된다"라고 설명했다.
반면 내수 시장 규모는 1%대 감소가 점쳐진다. 현대자동차 글로벌경영연구소는 올해보다 1.1% 감소한 180만대, 한국자동차산업협회는 올해와 같은 182만대를 전망한다.
이보성 현대차그룹 글로벌경영연구소 이사는 “가계부채가 많은 가운데 금리 인상과 고용개선 저조 에다 개별소비세 인하와 같은 신차구매 수혜정책이 부진한 영향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 |
내수 성장세 둔화는 주로 국산 자동차 브랜드 부진에 기인한다. 내수시장에서 국산완성차 업계의 판매 규모는 올해보다 1.9% 감소한 153만대로 업계에서는 추산하고 있다. 올해 내수판매의 10.5%(1~11월)를 차지한 현대차 그랜저의 신차효과가 감소하는 데다 노사관계불안에 따른 경영불확실성도 악재다. 내수에 이어 수출도 마이너스 성장을 하면서 국내 공장에서 생산되는 자동차도 감소할 전망이다. 수출은 올해보다 1.5% 감소한 257만대로 전망되는데 이럴 경우 국내 공장 생산량은 1.4% 감소한 410만대로 전망된다. 원화강세로 국내 생산 자동차의 가격경쟁력 둔화도 불가피하다. 현대차 글로벌경영연구소는 원/달러 환율(년 평균)은 올해 1130원에서 내년 1105원, 원/엔 환율은 1018원에서 978원으로 예상했다. 우리나라 자동차와 직접 경쟁하는 도요타, 혼다 등 일본 브랜드는 엔화 약세로 가격 경쟁력이 높아진다는 이야기다. 김용근 한국자동차산업협회 회장은 “우리나라 자동차산업이 회복세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개별소비세 감면 등 내수활성화와 환율안정화를 위한 정책적 지원, 국제경쟁력에 치명적 부담을 주고 있는 노사관계의 개선을 위한 노사간 대타협과 노동제도 선진화가 절실하다"며 "미국·독일·일본 등 주요 자동차생산 경쟁국에 비해 우리 기업 경쟁력을 훼손시키지 않는 한국형 환경정책도 절실히 요구된다”고 말했다. |
[뉴스핌 Newspim] 한기진 기자 (hkj77@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