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페라에서 음악과 연출의 상관관계는 어떤 상호성을 띄고 있을까? 객관적 관점에서 연출가에게 무대는 작품이 지닌 예술적 의미의 장이고 성악가의 무대는 음악의 예술성이 살아 숨 쉬는 장이다. 그러나 이런 엄격한 분류에 앞서 무대는 스코어에 잠재된 작곡가의 예술성이 살아나는 장인 게 우선이다. 즉 작곡가의 음악미가 살아 호흡하는 예술의 장이다. 지난 11월 18일 예술의 전당 오페라 하우스에서는 모차르트의 불후의 명작으로 꼽히는 오페라 '돈 지오반니'의 공연이 있었다. 스태프에는 예술총감독에 이강호, 정선영 연출과 경기 필하모니 오케스트라를 이끈 양진모 지휘자, 메트 오페라합창단이 함께 했다.
캐스트는 돈 지오반니에 우경식, 돈 안나 박하나, 돈 옥타비오 이현재, 돈 엘비라 김신혜, 레포렐로 양석진, 마제또 오세원, 체를리노 한은혜, 기사장에는 이준석이었다.
이번 오페라의 가장 큰 특징은 연출가가 자신의 작품에 대한 이미지를 우리의 정서로 바꿔서 드러냈고 대본도 연주는 악보대로 이태리어로 했다. 그러나 관객들의 이해를 돕고 우리 정서를 살리기 위해 우리말로 각색해서 이해를 도왔다. 무대도 우리의 삶이 듬뿍 담긴 기와지붕을 상징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즉 음악은 원작에서 하나도 손상이 없으면서도 우리의 삶이 녹아 흐르게 했고 여기에는 대본에서 오는 이해도 우리식으로 높였다는 점이다. 즉, 정서의 이상과 현실을 하나의 장에서 담고 있는 획기적인 기획을 선보인 것이다. 특히 지붕의 크고 작은 기와를 하나의 출입구를 활용하고 있는데 적어도 평자가의 시각은 돈 지오반니의 악행의 구렁텅이로 보니 이해가 쉬웠다.
돈 지오반니가 죽고 착하게 살자고 노래를 부르고 있다. <사진=라벨라오페라단> |
이날 오페라의 또 다른 특징은 이제는 라벨라 오페라단의 트레이드마크가 된 성악가 전체의 고르고 균형감 있는 음악미를 선보이고 있는 점이다. 그 균형감은 돈 지오반니에서 합창단원에 이르기까지 음악적으로는 비등한 일체감을 보이고 있다. 이런 무대는 상대적으로 주인공들의 역할의 심도가 더욱 강화되기 전에는 쉽게 눈에 띠지 않는다는 아쉬움은 있다.
메트 오페라합창단원들의 음악적 균형감을 보면 쉽게 라벨라 오페라의 특징이 드러난다. 그들은 오페라합창단이기 이전에 콘서트 합창단의 잘 정리되고 틀 잡힌 균형감을 보여 주고 있다. 오페라 합창의 특징이 그러하듯 질적인 앙상블보다는 자유스러움을 지닌 포괄적인 앙상블이 우선하는데 이들의 일사불란한 조화로움은 전형적인 독일 오페라합창단의 면모를 보여주고 있다.
이런 성악의 잘 잡힌 음악적 균형감은 체를리나와 마제또를 봐도 쉽게 드러난다. 이들의 위상은 조연적 주연이지만 그들이 내는 잘 잡힌 음악적인 미감은 선뜻 이들의 위상을 주연으로 실감하게 한다. 이 오페라에는 주인공 돈 지오반니를 중심으로 7명의 주연급이 등장한다. 이들 모두가 잘 짜여진(그들의 음악을 보면 이렇게 표현해야 한다) 음악을 바탕으로 최상의 균형 잡힌 미감을 들려준다. 때문에 누가 호흡이나 발음이 어때서 무엇이 어땠다! 라는 등의 지적은 불필요한 객담이 되게 한다. 이런 현상은 물론 유럽에선 당연한 일상이지만 우리나라에선 보기 드문 현상으로 우리가 오페라, 아니 음악계가 음악문화 선진국으로 가기 위해선 필히 거쳐야 하는 관문이고 난제다. 그걸 라벨라 오페라단이 선두에서 모범적으로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돈 지오반니가 체를리나를 유혹하고 있다. <사진=라벨라오페라단> |
물론 아쉬움이 없는 것도 아니다. 연출은 작품의 예술적 관점도 중요하지만 성악들의 음악적 시간이 활성화되도록 마련되어야 한다. 연주가들의 음악적 시간, 즉 연주 시간은 무대의 특성상 시간 속에서 발전적 미감을 지니게 되어 있다. 긴장이 주를 이루는 무대의 시작 시간은 시간이 지나면서 연주력도 살아나고 관객들과의 호흡도 익숙해지며 이때 자연스럽게 생겨나는 세련미가 연주 시간의 함수다.
그러나 이날의 기와지붕이 무대의 70%이상을 차지하고 성악가들, 특히 주연들은 기와에서 어렵게 옮겨 다니다 보니 음악미의 시간을 가질 여유가 없었다. 물론 음악적 시간은 인위적인 시간이 아니고 연주시간 속에서 자연스럽게 무르익는 시간이다. 그 시간은 무대의 자유로움과 익숙함에서 유래하는데 걸음 거리에 그 자유로움이 제약을 받다보니 세련미로 발전을 못했다. 그것은 무대의 첫 시간에서 나타난 긴장감에서 오는 음악미의 시간성이 긴장은 벗어났지만 보편성으로 바뀌면서 전 시간을 통해 유지된 것이다. 즉 우리가 어떤 일을 할 때 손에 익는다는 시간이 바로 시간함수인데 그 시간함수가 보편적이 된 것이다. 그것은 연출에서 비롯됐다. 좋은 의미로는 시간 속에서 발전적인 모습이지만 그렇지 않으면 그 시간함수의 계기가 일반화 되었다는 뜻이다. 만약 무대를 한 번 쯤 바꿨다면 하는 아쉬움은 그래서 남는다.
그러나 이번의 돈 지오반니가 보여준 가장 큰 소득은 우리가 문화선진국의 문턱에서 허덕이는 원인에 대한 개선점을 정착의 의미로 보여줬다는 점에서 중요한 획을 그은 시간이었다.
문일근(음악평론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