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계"우선 정상화후 내년부터 구조조정"..최소인력으로 특화선종만 건조 또는 사업나눠 현대·삼성이 흡수
[뉴스핌=조인영 기자] 대우조선이 1년 반만에 수조 원의 추가지원을 받게되면서 과잉경쟁 구조인 '빅3'를 근본적으로 변화시켜야 한다는 목소리에 힘이 실리고 있다.
16일 금융권 및 조선업계에 따르면 금융위원회와 주채권은행인 산업은행은 시황악화로 대우조선 부족자금이 2~3조원대에 달할 것으로 판단, 신규 자금 지원을 검토중이다. 구체적인 지원 방안과 금액은 오는 23일 공개될 예정이다.
금융당국은 수주난으로 대우조선에 발생할 부족자금이 3조원대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대우조선이 파산하면 협력사까지 10만명의 일자리가 증발되고, 프로젝트 무산에 따른 발주처의 줄소송 등 경제적 효과만 57조원에 달해 신규자금 지원이 불가피하다고 보고 있다. 채권단은 구체적인 지원방식을 놓고 1, 2금융권 참여 여부를 놓고 고민중이다. 2~3개월 동안 강제적으로 채무를 조정(빚 감축)하는 프리패키지플랜(P플랜)도 검토하고 있다.
유동성 위기가 또 다시 불거지면서 업계는 대우조선의 장기 구조조정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보고 있다. 앞서 국내 조선업종 컨설팅을 맡았던 맥킨지는 지난해 보고서에 '독자 생존 가능성이 낮은 대우조선을 매각하거나 분할해 빅3 체제를 빅2 체제로 재편해야 한다'는 내용을 담았다. 그 근거로 2020년까지 3조3000억원의 자금 부족 발생을 제시했다.
이에 대우조선은 "전혀 터무니 없는 가정 하에 진행됐고 조선사의 향후 전략과 자구노력이 반영되지 않는 납득할 수 없는 사항이 많아 수용하기 어렵다"다고 공개적으로 반박했고, 결국 정부는 파급효과를 고려해 자구계획안을 토대로 한 '빅3' 자체 구조조정으로 결론을 냈다.
구조조정 이후에도 대우조선 문제가 부상하면서 업계는 선(先)구제·후(後)구조조정 방식의 조선산업 재편을 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당장 대우조선을 쪼개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우선 정상화한 뒤 현대중공업과 삼성중공업에 겹치는 선종 등을 양보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익명을 요구한 조선업계 관계자는 "협력사까지 포함하면 대우조선 직·간접 고용인력은 10만명에 달한다. 파산하면 지역경제, 금융권 모두 대혼란이 예상된다"며 "유동성 지원으로 우선 정상화한 뒤 출혈경쟁이 예상되는 선종 포트폴리오를 정리하면서 최소 인력으로 특화 선종을 건조하는 정도의 규모로 축소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연내 정상화에 집중한 후 내년부터는 맥킨지안 등 구조조정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뉴스핌 Newspim] 조인영 기자 (ciy810@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