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다만 中불안에 세계경제 변동성 확대, 韓 수출 부진 등 우려"
[뉴스핌=정연주 기자] 중국의 금융시장의 불안이 전반적인 금융시스템 불안으로 확산될 가능성이 제한적이라고 평가됐다. 다만 중국 관련 불확실성으로 한국의 수출 등이 타격을 받을 수 있다는 점은 우려할 만한 요인으로 지적됐다.
한국은행은 3일 국회에 제출한 '통화신용정책보고서(2015년 11월)'에서 "우선 금융시장 불안에도 불구하고 유동성 및 신용 리스크의 큰 폭 확대 등과 같은 금융시스템의 이상징후는 감지되지 않고 않다"며 "금융기관 간 자금시장은 대체로 안정을 유지하고 있으며 금융기관의 신규 대출도 원활한 모습"이라고 밝혔다.
<자료제공=한국은행> |
중국의 금융시장 불안은 2015년 6월 이후 가중됐다. 실물지표 부진, 위안화 추가 절하에 따른 자본유출 우려 등 때문이다. 실제 지난해 하반기 이후 상승세를 지속하던 주가는 6월 12일 연중 최고치를 경신한 후 40%이상 급락했다.
그러나 보고서는 이런 불안이 중국의 전반적인 금융시스템 불안으로까지 확산될 가능성이 낮다고 봤다. 금융시스템이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는 가운데 특히 중국 채권 시장의 신용스프레드도 축소된 상황이다.
지난 6월 80~90bp를 유지하던 CDS 프리미엄은 8월 31일 기준으로 114.5까지 높아졌지만 유로지역 재정위기가 본격화된 2011~2012년(2011년 11월 22일 158bp)과 비교하면 낮은 수준이다. 또한 외채 대비 외환보유액, 경상수지 등 대외부문 건전성 관련 지표들도 양호한 모습이라는 평가다.
실물경제 측면에서 보더라도 중국의 성장속도가 둔화되고 있으나 급격한 부진에 빠지는 이른바 경착륙 가능성은 크지 않다는 평가다.
한은은 "서비스업의 양호한 성장세와 인프라 구축을 위한 투자 확대 지속 등이 제조업의 부진을 어느 정도 상쇄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가계자산에서 차지하는 주식의 비중(0.8%)이 매우 작아 주가의 급락이 소비 등에 미치는 영향도 제한적"이라며 "중국 정부 및 중국인민은행의 정책대응 여력이 아직 충분하다는 점도 경기둔화 압력을 완화시킬 것"이라고 전망했다.
다만 중국 경제의 하방리스크가 커졌다는 점은 경계할 필요가 있는 요인으로 꼽혔다. 한계에 직면한 수출 및 투자 중심의 성장모델이 소비 중심으로 전환되는 데 상당한 시일이 소요될 수밖에 없으며 제조업 경기가 단시일 내 뚜렷이 개선되기는 어려울 것이기 때문이다.
한은은 "경기순환 측면에서도 생산가동률이 낮은 수준에 머무는 가운데 기업의 부채부담 등으로 투자 증가세가 계속 둔화되고 은행의 부실자산이 늘어나는 등 제조업 경기가 단시일 내 뚜렷이 개선되기는 어려울 것"이라며 "한편 미 연준의 통화정책 정상화는 중국으로부터의 자본유출을 촉진하는 요인으로 계속 잠재해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앞으로도 중국 관련 불확실성으로 국제금융시장의 변동성이 수시로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는 진단이다. 8월 중순 이후 중국 불안으로 세계경제가 휘청였던 모습이 재현될 것이란 설명이다. 세계경제 성장에 기여율이 높아진 중국 경제가 둔화된다면 성장모멘텀이 약화된 세계경제에 타격이 증대될 것이란 이유에서다.
특히 중국 경제와 연계성이 높은 아시아 신흥시장국 및 자원수출국의 경기둔화 우려가 확대될 것으로 전망했다. 한국의 수출에도 부정적인 영향이 있을 것으로 예상됐다.
한은은 "우리경제도 중국 경제와의 연계성을 고려할 때 중국 경제 둔화 시 중국의 최종재 수입수요 감소뿐 아니라 아시아 신흥시장국 경기둔화로 수출에 부정적 영향이 나타날 것"이라며 "미 연준의 정책금리 인상, 중국 경기 둔화 등 대외여건의 불확실성이 서로 맞물릴 경우 국제금융시장에서의 투자심리가 위축되면서 기초경제여건이 취약한 신흥시장국에서 자본유출이 확대되고 이들 국가의 금융시장 변동성이 더욱 확대될 소지가 있다"고 전망했다.
윤면식 한은 부총재보는 "중국의 성장세 둔화는 수출 투자 중심의 고도성장 전략에서 내수 중심의 중고속 성장 전략으로 바뀌는데 있다. G2리스크는 미국의 경우 통화정책 정상화 과정, 중국은 불가피한 구조적 변화 이행 과정에서 나오는 것으로 앞으로 이런 변화가 상당 기간 갈 수도 있다"고 말했다.
이어 "시장이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지만 갑작스런 변화가 아닌 이미 예상된 변화며 시장이 불안한 모습을 보이더라도 중국 당국의 정책 여력이 남아있으며 특성상 당국 컨트롤 힘 자체가 크다고 보여진다"며 "중국 의존도가 높은 우리나라에도 영향이 있겠지만 우리나라 정책당국도 시장 안정을 위한 수단과 의지를 가지고 있다"고 강조했다.
<자료제공=한국은행> |
[뉴스핌 Newspim] 정연주 기자 (jyj8@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