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핌=임하늘 기자] 대한민국에 창조경제의 바람이 강하게 불고 있다. 박근혜정부의 핵심정책 과제로 창조경제가 선택된 뒤 곳곳에서 창조경제를 표방한 발굴작업이 한창이다.
모든 경제정책의 중심추도 창조경제로 이동하고 있다. 그만큼 창조경제는 향후 5년간 박근혜정부의 핵심축으로 자리잡을 것으로 예상된다.
창조경제는 어디서 유래됐고 국내에는 언제부터 사용했을까.
창조경제는 영국의 경영전략가로 유명한 존 홉킨스가 지난 2001년 펴낸 책 '창조경제'(The creative economy)에서 처음으로 사용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국내에 창조경제가 도입된 시점은 정확하지는 않지만 지난 2009년쯤으로 보인다. 이민화 한국과학기술원(KAIST) 교수가 처음으로 사용하면서 전파됐다는 게 학계의 시각이다.
이런 가운데 창조경제의 전도사로 알려진 김광두 국가미래연구원 원장과 윤종록 미래부 차관 등이 창조경제의 산파 역할을 하면서 퍼지기 시작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후 대선공약으로 창조경제가 제시되면서 전파의 폭발력이 커졌다.
이들은 박 대통령과 오랜 시간 교류하며 창조경제의 밑그림을 그렸고 향후 5년 동안 대한민국형 창조경제를 실천할 인물들로 평가된다.
지난 18대 대선 당시 박 대통령의 싱크탱크 역할을 했던 국가미래연구원의 김광두 원장은 '창조경제와 그 성공조건' 논문을 통해 창조경제를 정의하고 있다.
김 원장은 창조경제에 대해 "중소·벤처기업의 창업이 활성화되고 대·중소기업 간 상생구조가 정착돼, 일자리 창출형 성장이 선순환되는 경제"라고 밝혔다.
같은 연구소에서 박 대통령의 최측근 경제참모로 꼽히는 이경태 고려대 석좌교수는 '근혜노믹스의 이해'라는 글로 창조경제를 설명하고 있다. 이 교수는 "박근혜정부가 해결해야 할 가장 중요한 경제과제는 성장회복을 통한 좋은 일자리 창출"이라고 지적했다.
윤종록 미래부 제2차관은 실제 정보통신(ICT)산업을 총괄하는 책임자로 2년 전부터 새누리당 국민행복추진위원회 창의산업추진단·인수위 전문위원 등으로 활동하며 박 대통령과 많은 의견을 교환해 왔다.
그는 창조경제와 관련해 "창조경제의 씨앗은 과학기술에서 나오는 상상력"이라며 "ICT라는 비옥한 디지털 토양에 씨앗이 떨어져 뿌리가 발아하고, 열매로 서비스·솔루션·애플리케이션 등이 나타날 것"이라고 말했다.
미래창조과학부 장관 후보자이기도 했던 현대원 서강대 교수는 박 대통령의 주요 전문가 인맥 중 한 사람이다. 현 교수는 지난 2007년부터 새누리당 연석회의에서 참여해 대선 UCC특강을 해왔다.
지난달 10일에는 허태열 비서실장 등 청와대 수석비서관 9명에게 창조경제에 대해 강의 하기도 했다. 일반 공무원들의 창조경제 교육인 제1기 창조경제 실천과정에서도 교수로 나설 예정이다.
[뉴스핌 Newspim] 임하늘 기자 (bily@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