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감서 '정부안(案)→통일부안' 말 바꿔
"정부 내에서도 논의되고 있다" 주장
여권서도 비판 여론에 돌자 수위 조절
[서울=뉴스핌] 이영종 통일전문기자 = 정동영 통일부 장관이 남북관계를 '평화적 두 국가'로 규정하는 방안이 정부안으로 확정할 것이라고 주장했던 자신의 발언을 수정하고 나섰다.
![]() |
| [서울=뉴스핌] 정일구 기자 = 정동영 통일부 장관이 28일 서울 여의도 국회 외교통일위원회에서 열린 외교부·통일부 등에 대한 종합감사에서 안경을 고쳐 쓰고 있다. 2025.10.28 mironj19@newspim.com |
정 장관은 28일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종합감사에서 김준형 조국혁신당 의원이 '평화적 두 국가론'이 정부안이 맞는지 질의하자 "정부안으로 확정될 것이라는 말은 정정한다"며 "이는 통일부의 안으로 확정될 것이고, 현재 정부 내부에서도 논의가 진행 중"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정확히는 통일 지향의 '평화적 두 국가론'을 통일부가 확정하는 절차를 밟고 있다"며 "통일부는 정부 부처로서 지난 9월 국제학술회의에서 이 문제를 다뤘고, 다양한 세미나와 베를린 '글로벌코리아포럼' 등을 통해 논의를 이어가고 있다"고 설명했다.
정 장관이 입장을 바꾸고 나선 건 지난 14일 외통위 국정감사에서 두 국가론이 정부안으로 확정될 것이라고 한 자신의 주장을 둘러싸고 논란이 번지고, 대통령실과 여권 내부에서도 부적절했다는 지적이 잇따른 때문으로 보인다.
당시 국감 답변에서 정 장관은 "'평화적 두 국가론'이 정부 입장으로 확정될 것"이라고 단정적으로 언급한 바 있다.
또 정부 국정 과제에 '남북기본협정 체결'이 포함돼 있다는 점을 강조하면서 "남북기본협정을 적대적 국가나 반국가단체와 체결할 수는 없지 않겠느냐"고 주장하며 두 국가론을 밀어부칠 것임을 밝혔다.
yjlee@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