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뉴스핌] 오종원 기자 = 세종시는 고물가와 경기침체로 어려움을 겪는 시민들 가계 부담을 덜고 지역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해 내년도 상하수도 요금 인상을 동결하고 1년간 유예하기로 결정했다고 19일 밝혔다.
앞서 시는 상하수도 시설 확충·운영과 사용요금 현실화를 위해 2020년 '요금 현실화 5개년 계획'을 수립 연차별 요금 인상을 추진해 왔다. 이는 매년 물가상승으로 인한 시설운영비 증가와 상하수도 시설 확충 등으로 처리 원가가 점차 증가했음에도 요금 현실화율이 낮아 공기업 재정 건전성이 악화되고 있는 현실을 고려한 조치다.
![]() |
세종시청 본청 청사 전경. [사진=뉴스핌DB] |
상하수도 요금이 다음해 계획대로 요금이 인상될 경우 상수도 요금은 가정용은 710원에서 755원으로, 동기간 하수도 요금은 1180원에서 1500원으로 인상 적용된다.
하지만 시는 이번 요금 인상 유예 결정에 따라 2026년도 요금을 올해 수준으로 동결하고 인상 시기는 오는 2027년으로 늦춘다는 방침이다.
시는 입법예고 등 개정 절차를 거쳐 오는 11월 11일에 열리는 제102회 세종시의회 정례회에 안건을 부의할 예정이다. 아울러 시의회와 협력을 통해 '세종특별자치시 상수도 급수 조례'와 '세종특별자치시 하수도 사용 조례'를 각각 개정한다는 계획이다.
이밖에도 2026년도 요금 동결에 따라 세출을 조정 운영하고 요금 현실화를 위해 자산재평가와 재정분석을 통한 경영개선 등을 추진해 운영 전반의 효율을 높인다는 방침이다.
최민호 세종시장은 "이번 결정이 고물가와 경기 둔화로 가계 경제에 어려움을 겪는 시민들에게 도움이 되길 바란다"며 "상하수도 요금 인상을 통한 재정적자 해소 필요성에 대해 많은 고심이 있었지만 시민 입장에서 정책을 결정한 것으로 앞으로도 이러한 기조를 이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jongwon3454@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