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양진영 기자 = 한국문화예술위원회는 10일까지 서울 양재 aT센터에서 개최되는 '2025 대한민국 사회서비스 박람회'에 참가해 통합문화이용권, 청년문화예술패스 사업 등 문화예술분야의 대표 바우처 사업에 대해 안내와 홍보를 진행한다.
![]() |
한국문화예술위원회가 '2025 대한민국 사회서비스 박람회'에 참가한다. [사진=예술위] |
'공공바우처 운영 협의체'는 정부지원 바우처 사업에 대한 공동 발전방향 모색 및 사회적 가치 실현을 위한 기관 간 협력 강화를 목적으로 지난해 11월 28일 발족하였으며 한국문화예술위원회, 국민체육진흥공단, 국가평생교육진흥원, 한국장학재단, 한국에너지공단, 한국과학창의재단, 한국산림복지진흥원 등 정부지원 바우처를 운영하는 7개 기관이 참여하고 있다.
박람회에서 '공공바우처 운영 협의체' 4개 기관은 각 기관에서 운영하는 바우처 사업을 관람객들에게 안내하고, 협의체 기관 홍보부스 4곳을 모두 방문하여 스탬프를 완성하는 관람객에게는 기념품을 증정하는 공동 이벤트도 실시한다.
아르코 관계자는 "정부에서 운영하는 바우처를 조금이라도 더 국민들에게 알리고 이용방법 안내와 불편사항 청취 등 직접 소통하고자 협의체 기관들과 함께 참여하게 되었다"라고 참여계기를 밝히면서,"공공바우처 운영 협의체 기관에서 추진하는 다양한 바우처 사업은 대상자들이 비슷하기 때문에, 이용자 입장에서는 한꺼번에 유용한 정보를 알아볼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아르코는 문화복지분야 대표 바우처인 통합문화이용권 사업과 청년문화예술패스 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통합문화이용권(문화누리카드)은 6세 이상의 기초생활수급자·차상위계층을 대상으로 문화예술, 국내관광, 체육활동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2025년 기준 1인당 연 14만원을 지원한다. 발급은 11월 28일까지 가능하고 사용기한은 12월 31일까지다.
청년문화예술패스는 사회에 첫 발을 내딛는 대한민국 19세 청년(2006년 출생자)에게 공연‧전시 관람비를 지원하는 사업으로 1인당 연 최대 15만원을 지원하며 신청기간은 11월 30일까지이다. 발급받은 청년문화예술패스는 12월 31일까지 협력예매처(NOL티켓, 예스24)에서 사용할 수 있다.
jyyang@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