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조금 인상으로 지원 체계 강화
[세종=뉴스핌] 이정아 기자 = #입양으로 새로운 가족을 맞이한 박지원(가명, 30대) 씨는 '입양아동 가족지원' 사업을 통해 양육수당과 입양축하금 등의 혜택을 받았다. 박 씨는 "복권기금 지원 덕분에 입양 초기 필요한 경제적 준비를 차근차근 마련할 수 있었다"며 "가정이 안정된 뒤에는 아이의 건강한 성장과 미래를 위해 매달 지원받는 양육수당을 저축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처럼 입양을 통해 새로운 가정을 꾸린 이들을 위해 보건복지부는 지난 2014년부터 복권기금을 활용한 '입양아동 가족지원' 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14일 복권기금에 따르면, 올해 약 213억원의 복권기금을 투입해 보다 체계적인 입양 지원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이 사업은 1996년 장애입양아동의 입양 활성화를 위한 양육보조수당 및 의료비 지원에서 시작됐다. 이후 입양아동 양육수당, 입양비용 지원, 입양숙려기간 모자지원 등으로 지원 항목을 확대하며 모든 국내 입양아동을 대상으로 범위를 지속적으로 넓혀왔다.
특히 국내 입양을 촉진하기 위해 2022년에는 입양축하금(200만원) 제도를 신설하고, 입양아동 양육수당도 월 15만원에서 20만원으로 인상하는 등 실질적인 지원 수준을 강화했다.
![]() |
2025년 제20회 입양의 날 행사 현장 [사진=보건복지부] 2025.05.14 plum@newspim.com |
장애입양아동에 대한 지원도 한층 강화됐다. 올해부터는 중증 장애아동에게 월 72만1000원, 경증 장애 또는 질환이 있는 아동에게는 월 63만4000원의 양육보조금이 지급된다. 또한 기존에는 입양 당시나 선천적 장애만 지원 대상이었으나, 오는 7월부터는 입양 이후 발생한 장애도 지원 범위에 포함될 예정이다.
보건복지부 아동정책과 관계자는 "현재 국내 입양가정의 경제적 부담 완화를 위한 다양한 지원과 함께 오는 7월 시행되는 공적 입양체계 개편을 준비 중"이라며 "앞으로도 복권기금과 함께 입양아동의 안전과 권리 보장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기획재정부 복권위원회 관계자는 "우리가 구매한 복권 한 장, 한 장이 모여 보호가 필요한 아이들의 건강한 성장에 보탬이 되고 있다"며 "이처럼 복권기금은 입양아동을 비롯한 취약계층 아동들을 위한 다양한 공익사업에 활용되고 있다"고 전했다.
plum@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