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협 '2024년 수출의 국민경제 기여 효과 분석' 보고서 발간
[서울=뉴스핌] 서영욱 기자 = 지난해 우리나라 경제성장률 2.04% 중 수출이 1.93%포인트(p)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은 9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24년 수출의 국민경제 기여 효과 분석'을 발표했다.
수출 기여도는 최근 5년 사이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실질 국내총생산에서 수출 비중도 36.3%로 2020년대 들어 최고치를 기록했다.
![]() |
수출의 경제성장 기여 [사진=무역협회] |
지난해 수출 생산유발액은 전년보다 6.9% 늘어난 1조3012억 달러로 추정됐다. 특히 자동차와 반도체 수출 회복이 생산유발액 증가에 크게 영향을 미쳤다.
수출 생산유발도는 지난해 1.93에서 소폭 하락해 1.90을 기록했다. 품목별 수출 생산유발액은 자동차가 2365억 달러로 가장 높았고, 반도체 1854억 달러, 일반기계 771억 달러 순이었다.
수출의 부가가치율은 56.3%로 전년 대비 0.9%포인트 상승했다. 품목별 부가가치 유발액은 반도체가 789억 달러로 가장 많았고, 자동차 579억 달러, 일반목적용 기계 225억 달러가 뒤를 이었다.
수출로 유발된 취업자는 총 416만 명으로 전체 취업자의 14.6%를 차지했다. 수출 100만 달러당 6.1명의 일자리가 창출된 셈이다.
품목별 취업유발인원은 자동차가 69만5000명으로 가장 많았고, 반도체 34만6000명, 일반목적용 기계 29만2000명, 선박 22만9000명 순이었다.
유서경 무역협회 수석연구원은 "수출의 높은 경제성장 기여도는 우리 경제가 수출 주도 성장 전략을 지속적으로 추진해야 함을 시사한다"며 "수출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확대하기 위해서는 수출 품목 다변화를 통한 장기적인 경쟁력 확보, 고부가가치 제품 개발, 중소기업의 글로벌 가치사슬 참여 확대 및 산업 생태계 강화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syu@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