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송은정 기자 = 플리토는 광주은행 8개 지점에 인공지능(AI) 기술에 기반한 실시간 다국어 통번역 시스템을 제공한다고 4일 밝혔다.
광주은행 지점 창구에 설치된 챗 트랜스레이션 엔터프라이즈를 통해 창구 직원이 고객과 모국어로 소통하며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사진=플리토] |
광주은행에 도입된 플리토의 AI 통번역 솔루션은 '챗 트랜스레이션 엔터프라이즈(Chat Translation Enterprise)'다. 해당 솔루션은 영∙중∙일은 물론 베트남어, 태국어, 말레이어 등을 포함한 38개 언어를 실시간으로 지원한다. 이를 통해 창구 직원과 외국인 고객은 모국어로 원활한 글로벌 소통이 가능하다.
현재 솔루션이 설치된 곳은 송정지점, 진월동지점, 월곡동지점, 전남대학교지점, 흑석사거리지점, 나주지점이다. 추후 신설 예정인 외국인금융센터와 외국인 고객 전용 이동점포까지 더해 총 8개 지점의 12개 창구에 AI 다국어 통번역 시스템이 구축될 예정이다.
이번 시스템은 광주은행 맞춤 솔루션으로 개발되어 더욱 효율적인 서비스를 제공한다. 자주 쓰이는 고객 응대 문구의 경우 앱 내 탑재된 버튼만 클릭하면 쉽고 간편하게 다국어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전남 지역 사투리 발화에 대한 음성 인식률도 높여 의사소통이 어려운 고령 고객이 사용할 때도 원활한 소통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 시스템의 도입으로 광주·전남 지역에 거주하는 외국인 유학생들은 언어 장벽 없이 등록금 납부 등의 금융 서비스를 더욱 쉽게 이용할 수 있게 됐다. 또한 6000여 명에 달하는 광주·전남 지역의 외국인 근로자들도 가까운 지점에서 모국어로 은행 업무를 볼 수 있게 됐다.
이정수 플리토 대표는 "AI 통번역 기술을 통해 광주∙전남 지역의 광주은행 고객들이 더욱 편리하게 금융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돼 매우 기쁘다"며 "앞으로도 지역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AI 언어 솔루션을 개발해 글로벌 금융 생태계 구축에 지속적으로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yuniya@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