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격적 투자 + 인적 네트워크로 적극 지원
"기업엔 기회, 인류엔 더 나은 의료서비스"
[서울=뉴스핌] 백진엽 선임기자 = "IT, 의학, 바이오의 융합을 통한 혁신에 큰 기회가 있고, 이 혁신을 통해 더 많은 사람들이 더 나은 의료 서비스를 더 적은 비용으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해질 것이다."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지난 2015년 3월 중국 보아오포럼에 참석해 바이오 사업에 대한 육성 의지를 밝히며 한 말이다. 이같은 이 부회장의 의지를 반영해 삼성은 바이오를 반도체에 버금가는 미래 먹거리로 육성해 '제2의 반도체 신화를 이루겠다는 구상이다.
![]() |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11일 세계 최대 바이오의약품 생산 시설인 삼성바이오로직스 제4공장을 방문해 생산 시설을 직접 점검하고 있다.[사진=삼성전자 제공] |
11일 인천광역시 연수구 삼성바이오로직스 송도캠퍼스에서 열린 제4공장 준공식은 이같은 삼성의 바이오 구상에 한 획을 그은 날이 됐다. 삼성바이오로직스 출범 10년만에 바이오의약품 생산능력 세계 1위에 올라선 날이기 때문이다. 이 부회장 역시 지난 2015년 12월 이후 7년만에 삼성바이오 송도캠퍼스를 찾아 뜻깊은 날을 기념했다.
이 부회장이 본격적으로 경영에 나선 이후 삼성은 대규모 투자 계획을 발표할 때마다 바이오 사업을 회사의 '미래 먹거리'로 거론하며 집중 육성하겠다는 계획을 밝혀 왔다.
여기에 이 부쇠장은 폭넓은 글로벌 네트워크를 활용해 삼성의 바이오 사업을 지원하고 있다. 지난해 11월 미국 매사추세츠주 캠브리지에서 누바 아페얀(Noubar Afeyan) 모더나 공동 설립자 겸 이사회 의장을 만나 ▲삼성과 모더나 간 코로나19 백신 공조 ▲향후 추가 협력 방안에 대해 의견을 나눈 것이 대표적이다.
이에 앞서 8월에는 모더나 최고경영진과 화상회의를 통해 성공적인 백신 생산을 통해 신뢰 관계를 구축하고, 바이오 산업 전반으로 협력을 확대하는 방안도 논의하기도 했다.
이 부회장은 코로나19 위기가 최고조에 달했던 2020년 글로벌 네트워크를 활용해 화이자 백신 국내 조기 도입에도 기여했다. 당시 산타누 나라옌 어도비 회장 겸 화이자 수석 사외이사를 통해 화이자 최고위 경영진과의 협상 계기를 마련했다. 당초 2021년 3분기부터 화이자 백신이 국내에 도입될 예정이었으나, 이 부회장이 '가교' 역할을 하면서 3월부터 백신 50만명분이 조기에 도입되기도 했다.
업계에서는 이 부회장의 '바이오 네트워크'가 삼성에 대한 글로벌 바이오 업계의 신뢰와 평판을 높이며, 삼성의 바이오 사업뿐만 아니라 한국의 바이오 산업 성장에 기여한다고 평가하고 있다.
jinebito@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