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9년 DMZ서 마지막 관찰된 이후 멸종
22일 경남 창녕 우포늪서 첫 야생 방사
[세종=뉴스핌] 임은석 기자 = 한반도에서 멸종된지 40년된 따오기가 복원 노력 10년 만에 다시 자연의 품으로 돌아온다.
환경부와 문화재정, 경상남도, 창녕군은 멸종위기 야생생물II급이자 천연기념물 제198호인 따오기를 22일 경남 창녕 우포 따오기복원센터에서 야생으로 처음 방사할 예정이라고 8일 밝혔다.
따오기 사진 [사진=환경부] |
따오기는 지난 1979년 비무장지대(DMZ)에서 마지막으로 관찰된 이후 우리나라에서는 멸종됐지만 이번 야생 방사로 멸종 40년 만에 따오기가 다시 우리의 곁으로 돌아오게 되었다.
따오기는 청정 환경의 대표종으로서 논과 같은 습지에서 주로 먹이를 찾으며 미꾸라지, 개구리 등 양서 파충류를 먹는다. 따오기 동요가 있을 정도로 옛날부터 우리 주변에서 살아가던 친숙한 새였으나, 사냥과 농약으로 인한 서식지 파괴 등으로 멸종됐다.
지난 2008년 한·중 정상회담 당시 중국 후진타오 주석이 기증한 한 쌍과, 2013년 시진핑 주석이 기증한 수컷 두 마리를 시작으로 창녕 우포따오기복원센터에서 증식 복원에 노력한 결과, 복원 10년만에 363마리로 늘어났고, 올해 처음으로 야생 방사를 하게 됐다.
이번 따오기 방사는 멸종 40년의 의미를 살려 40마리를 방사할 예정이다. 방사될 따오기는 암수의 비율을 1대3으로 어미(성조)와 새끼(유조)의 비율을 2대1로 고려해 선별했다. 이들 따오기들은 비행훈련, 대인․대물 적응훈련, 먹이섭취 훈련, 울음소리 적응훈련 등 3개월 정도의 훈련을 받았다.
따오기의 성공적인 야생 적응을 위해 창녕군은 2010년부터 우포늪 일대 국유지를 대상으로 따오기 먹이터(논 습지, 16ha)와 영소지(숲, 23ha)를 조성했고, 2016년부터는 우포늪 일대 20개 마을 주민을 대상으로 따오기와의 공존 홍보와 창녕군 초·중학생을 대상으로 생태교육을 진행했다.
창녕군은 방사될 따오기에 위치추적기(GPS)와 가락지를 착용시켜 실시간으로 위치를 파악하는 한편, 따오기 연구자 10명, 자원봉사자 30명, 서포터즈 40명 등 80여 명이 따오기를 매일 관찰할 예정이며, 여기서 얻은 정보를 활용하여 향후 대체 서식지를 확대할 계획이다.
따오기가 질병에 걸리거나 부상을 입을 경우, 올해 창녕 장마면에 12월 완공되는 천연기념물구조·치료센터에서 응급 대응과 구조‧치료를 할 계획이다.
환경부와 문화재청 관계자는 "따오기가 성공적으로 복원돼 남북한과 중국과 일본까지도 오가는 동북아 생태보전의 모범사례가 되길 바란다"며, "따오기 복원의 성과가 앞으로 사라진 생물들의 더 많은 복원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fedor01@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