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어 방류사업 50년의 기록"
[세종=뉴스핌] 이규하 기자 = 연어 방류사업의 50년 발자취를 들여다볼 수 있는 기념책자가 발간됐다.
해양수산부는 우리나라 연어 방류사업 50년의 역사를 기록하고 연어 자원의 산업화 등 발전방향을 제시한 ‘연어에게 길을 묻다’를 발간한다고 3일 밝혔다.
우리나라는 연어 방류를 위해 1968년 11월 1일 국내 최초 부화 시설을 경남 밀양에 건립한 바 있다. 이후 1969년 강원 삼척부화장, 경북 강구부화장이 연이어 들어서는 등 인공부화 연구가 본격적으로 추진됐다.
때문에 국내에서는 최초의 연어 부화장이 건립된 1968년을 우리나라 연어 방류사업의 원년으로 보고 있다. 연어 방류사업을 처음 시작할 당시에는 연간 100마리도 잡히지 않을 정도로 연어자원이 부족했다.
![]() |
'연어에게 길을 묻다' 기념 책자 표지 [출처=해양수산부] |
하지만 50년간의 방류사업을 통해 연간 약 10만 마리가 잡히는 등 개체 수가 증가하는 성과를 보이고 있다.
최근에는 연어에서 추출한 재생물질을 이용해 의약품, 화장품을 제조하는 등 바이오산업 분야도 눈에 띈다.
발간 책자에는 국내 연어 방류사업의 역사, 연어의 생태와 종류, 통계자료 등 연어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들을 볼 수 있다.
또 우리나라에서 연어를 생산하고 방류하는 모든 기관의 방류량 및 어획량도 담겼다. 아울러 연어자원의 관리 및 보존을 위해 설립된 국제기구인 ‘북태평양소하성어류위원회(NPAFC)’의 운영 및 우리나라의 참여 활동에 대해서도 소개하고 있다.
‘연어에게 길을 묻다’ 기념 책자 파일은 정부 간행물로 국가기록원 누리집(theme.archives.go.kr)과 한국수산자원관리공단 누리집(www.fira.or.kr)을 통해 내려 받을 수 있다.
김영춘 해수부 장관은 발간사를 통해 “이 기념책자가 연어자원의 증대를 위해 노력해 왔던 지난 길을 되돌아보고, 앞으로의 미래를 그려볼 수 있는 유용한 길잡이가 되기를 바란다”며 “올해부터는 연어 자연산란장 조성 등을 추진해 어민들에게는 희망찬 삶의 터전으로, 도시민들에게는 연어의 생명력과 자연의 신비를 생생하게 느낄 수 있는 체험의 장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
judi@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