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시스템 및 인건비 초기비용만 500억~1000억원
[뉴스핌=한기진 기자] 인터넷전문은행 설립에 최소 1000억원 이상의 돈이 들 것으로 보인다. 자본금과 전산설비, 필수 인력만 포함하는 기본 비용으로, 실제로 흑자를 내기까지 수천억원대로 불어날 전망이다.
19일 은행권에 따르면 SI(시스템설계)업계가 IBK기업은행과 우리은행 등에 알린 비대면 뱅킹시스템 구축에 500억원이 소요될 것으로 전해졌다. 기본적인 은행의 여수신업무, 펀드나 방카 판매시스템, 송금과 지급결제시스템 구축만 해당하는 비용이다. 여기에 금융공동망 참가 가입비와 유지비, 예금보험료와 실명확인에 필요한 외부 기관 위탁비용 등 기본적인 인터넷전문은행 실무 인프라 비용까지 더하면 1000억원대에 이른다. 설립자본금 500억원은 별도다.
기업은행 관계자는 “전산부서에서 보는 비대면(非對面) 풀뱅킹시스템(모든 은행업무 처리 시스템)만 500억원이 들어가고 1호 사업자는 선도은행이라는 기대감을 갖고 출발해야 해 훨씬 많은 투자를 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수익을 내기 전까지는 인건비, 마케팅 비용 등을 대규모로 투자해서 비용은 수천억원대로 불어날 수 있다고 은행권은 보고 있다. 특히 마케팅 채널이 비대면으로 제한돼, 기존 은행보다 영업력이 떨어지고 브랜드 인지도와 신뢰도가 낮아 예금 유치와 고객 확보가 쉽지 않아 이를 만회하기 위한 비용이 커질 것을 걱정한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인터넷전문은행이 성공했다는 평가를 받는 일본의 경우, 6개 주요 인터넷전문은행이 순이익을 내는데 짧게는 2년 7개월, 길게는 8년 9개월이 걸렸다. 평균으로 4~5년의 기간이 필요했고 이 기간은 적자만 냈다.
은행권에서는 인터넷전문은행의 총영업이익 대비 일반관리비(인건비, 임대료, 마케팅 비용 등)의 비율이 평균 35% 미만으로 추정한다. 그런데도 기존 은행의 55~60%보다는 절반에 그친다.
이 같은 비용과 기존 은행 업무와 차별성이 두드러지지 않으면서 은행권에서는 기업은행과 우리은행을 제외하면 관심이 많지 않다.
하나은행은 애초 특별팀(TF)을 구성해 인터넷전문은행을 시도할 것으로 알려졌지만, 여전히 머뭇거리고 있다. 하나은행 관계자는 “인터넷전문은행의 비즈니스에 대한 실효성이 여전히 검토 중으로 설립 TF가 구성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기업은행과 우리은행은 다음카카오나 네이버와 같은 고객기반이 많은 ICT 기업과 제휴에 인터넷전문은행 성패가 달렸다고 보고 있다. 금융당국의 승인을 받는데도 ICT 기업과 제휴가 필요하고 많은 잠재고객이 있어야 매출확대가 가능해서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처음부터 인터넷전문은행은 혁신적인 ICT 기업과 새로운 은행 플레이어를 만들자는 취지였고, 여기에 맞게 기존 은행이 컨소시엄이나 파트너십을 구축해야만 한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증권, 저축은행 등 2금융권에서 ICT 기업과 파트너십을 구축해 1, 2호 인터넷전문은행이 나올 것이란 관측이 많다. 키움증권, 미래에셋증권, 다음카카오 등이 유력하며 특히 모그룹이 일본에서 '주신SBI네트은행'이라는 인터넷전문은행을 하는 SBI저축은행도 거론된다.
[뉴스핌 Newspim] 한기진 기자 (hkj77@hanmail.net)